2023년 '인천ㆍ대구' 입주물량 쏟아진다…조사 이래 '최다'

입력 2022-12-27 0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2년 대비 2023년 시도별 아파트 입주물량 (자료제공=부동산R114)
▲2022년 대비 2023년 시도별 아파트 입주물량 (자료제공=부동산R114)

내년 인천과 대구에 역대급 입주물량이 쏟아질 전망이다.

27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에는 전국 총 554개 단지에서 35만2031가구(임대 포함)가 집들이를 시작한다. 입주물량은 상반기 17만4369가구, 하반기 17만7662가구로 반기 별 편차는 크지 않다.

권역별로 수도권은 △상반기 9만7609가구 △하반기 8만2194가구로 상반기 입주가 많다. 지방은 △상반기 7만6760가구 △하반기 9만5468가구로 하반기 물량이 집중됐다.

시도별 아파트 입주물량은 △경기(10만9090가구) △인천(4만4984가구) △대구(3만6059가구) △충남(2만6621가구) △서울(2만5729가구) 순으로 많다.

특히 인천에서는 올해(4만2515가구)에 이어 연속해서 4만 가구 이상이 쏟아진다. 내년은 2000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다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서울은 내년 입주하는 2만5729가구 중 6371가구(25%)가 강남구 물량이다. 전세 수요가 둔화한 가운데 개포자이프레지던스(3375가구, 2023년 2월 입주) 입주 여파로 인근 개포동과 대치동의 전셋값이 하향 조정되고 있다.

지방은 △대구 3만6059가구 △충남 2만6621가구 △부산 2만4762가구 △경남 1만5221가구 △충북 1만2252가구 △경북 1만1231가구 순으로 물량이 많다.

2000년 조사 이래 최다 물량이 공급되는 대구의 경우 입주 아파트의 절반 이상인 1만8900가구(52%)가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으로 공급된다. 대구에서 한 해에 정비사업으로 1만 가구 이상이 공급되는 것은 2023년이 처음이다.

입주물량을 전용면적 구간별로 살펴보면 △60㎡ 이하 12만7656가구(36.3%) △60~85㎡ 이하 20만2134가구(57.4%) △85㎡ 초과 2만2201가구(6.3%)로, 전용 60~85㎡ 이하 구간대의 중소형 면적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높인 대출 이자 부담으로 전세수요가 둔화한 가운데 입주물량이 집중된 지역은 전셋값이 큰 폭으로 내리면서 역전세가 확대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와 함께 보증금 미반환 문제로 새 아파트 잔금을 치르지 못하는 사례도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의도 벚꽃 축제 시작…나들이 가기 전 '꿀팁' 알아볼까? [이슈크래커]
  • '강달러' 숨고르기는 언제…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경신
  • 국내외 유망 기업서 경험 쌓고 싶다면…‘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 알아볼까 [경제한줌]
  • 韓대행 헌법재판관 임명에 '격앙'…민주, 재탄핵 카드 꺼내나
  • 나스닥 대신 디지털 금?…트럼프 2.0 시대, 비트코인의 현주소 [블록렌즈]
  • "지금이라도 손절할까요"…테슬라 폭락에 서학개미 '피눈물'
  • 尹, 11일 대통령 관저 퇴거 예정... 아크로비스타로 이동 [포토]
  • 대한항공 기장들도 터진 탄핵 갈등…이번 대선은 '진짜' 극과 극? [해시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5,588,000
    • -0.57%
    • 이더리움
    • 2,218,000
    • -3.65%
    • 비트코인 캐시
    • 408,200
    • +0.42%
    • 리플
    • 2,773
    • -0.68%
    • 솔라나
    • 155,700
    • -0.57%
    • 에이다
    • 856
    • +0.59%
    • 이오스
    • 1,053
    • -2.77%
    • 트론
    • 348
    • +2.65%
    • 스텔라루멘
    • 338
    • -1.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150
    • -2.25%
    • 체인링크
    • 16,500
    • -1.73%
    • 샌드박스
    • 350
    • -1.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