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시진핑 내년 봄 모스크바 초청…러중 화상 정상회담

입력 2022-12-30 2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화상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모스크바 타스=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화상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모스크바 타스=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내년 봄 모스크바로 초대했다.

로이터, 타스, 스푸트니크 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국영 TV를 통해 방송된 두 지도자 간 화상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에게 “우리가 직접 만날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우리는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시 주석을 “친애하는 친구”라고 부르며 “우리는 당신이 내년 봄에 모스크바를 국빈 방문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시 주석의 모스크바 방문이 “전 세계에 러시아와 중국 간 연대의 공고함을 보여줄 것”이라며 “양국 관계에서 새해의 주요 정치 행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10개월을 넘기며 길어지는 상황에서 시 주석에게 군사적 협력에 대한 당부도 잊지 않았다. 이날 정상회담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사일 공격을 확대하는 가운데 진행됐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러시아와 중국의 군사적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라며 “서방의 전례 없는 압박과 도발에 맞서” 양국이 잘 대응해온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이에 대해 중국은 러시아와의 전략적 협력을 증진할 준비가 돼 있다고 답했다.

로이터는 푸틴 대통령이 서두에 약 8분간 연설했고, 이어 시 주석이 약 2분 정도를 답변에 할애했다고 소개했다.

러시아와 중국은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 ‘무제한 협력’(no-limits partnership) 관계를 국제사회에 과시한 바 있다.

실제로 중국은 전쟁 발발 이후 서방이 주도하는 대러시아 제재 동참을 거부하고 기존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중국은 서방의 대중국 제재를 유발하지 않도록 우크라이나 전쟁에 과도하게 연루되는 것을 꺼리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2: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112,000
    • -0.9%
    • 이더리움
    • 3,449,000
    • -2.16%
    • 비트코인 캐시
    • 563,000
    • -1.4%
    • 리플
    • 3,474
    • +4.04%
    • 솔라나
    • 239,400
    • -1.48%
    • 에이다
    • 1,114
    • -1.68%
    • 이오스
    • 1,207
    • -6.65%
    • 트론
    • 373
    • +0%
    • 스텔라루멘
    • 426
    • -2.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950
    • -5.5%
    • 체인링크
    • 23,090
    • -3.19%
    • 샌드박스
    • 485
    • -3.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