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알파-칼리버스, 영상 콘텐츠 활용 메타버스 구축 위한 MOU 체결

입력 2023-01-05 10: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왼쪽부터) 롯데정보통신 스마트리테일부문장 이원종 상무, 칼리버스 김동규 대표, KT알파 콘텐츠미디어사업부문장 김형만 상무가 협약식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자료=KT알파)
▲(왼쪽부터) 롯데정보통신 스마트리테일부문장 이원종 상무, 칼리버스 김동규 대표, KT알파 콘텐츠미디어사업부문장 김형만 상무가 협약식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자료=KT알파)

KT알파는 차세대 메타버스를 개발 중인 칼리버스와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메타버스 서비스 및 신규 사업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에 따라 KT알파는 IPTV, OTT 등 기존 유통 채널에 이어 메타버스 플랫폼에도 콘텐츠를 공급한다. 영화, 애니메이션, 해외 시리즈 등 KT알파가 보유한 2만여 개의 영상 콘텐츠를 메타버스 공간에서도 즐길 수 있다.

칼리버스는 롯데그룹이 신사업 확장을 위해 메타버스를 낙점한 이후, 2021년 7월 롯데정보통신이 인수하며 롯데그룹에 편입됐다. 독보적인 그래픽 제작 기술과 인터랙티브 특허기술을 통해 초실감형 차세대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현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KT알파는 칼리버스가 구축하는 메타버스 플랫폼 내 영상 콘텐츠를 공급, 운영 및 활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우선 영화, K-POP 공연영상 등 다양한 장르의 K-콘텐츠 중심으로 메타버스에서 첫선을 보일 계획이다. 이를테면 칼리버스가 최고 수준의 실사 그래픽으로 구축한 메타버스 공간에서 영화, 아이돌 공연 영상과 3D 애니메이션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양사는 영상 콘텐츠 활용 기반의 신규 사업모델 발굴을 위해 협력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KT알파 콘텐츠미디어사업부문장 김형만 상무는 “메타버스가 전자상거래, 교육, 의료 등 일상의 다양한 활동으로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영상 콘텐츠가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라면서 “KT알파의 콘텐츠 유통 영역은 기존 IPTV, 국내외 OTT 플랫폼 등을 넘어 3차원 가상현실까지 아우르며 서비스 영역이 확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615,000
    • -0.01%
    • 이더리움
    • 2,634,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441,100
    • +0.73%
    • 리플
    • 3,097
    • +5.05%
    • 솔라나
    • 171,500
    • +2.08%
    • 에이다
    • 956
    • +3.69%
    • 이오스
    • 1,195
    • -2.29%
    • 트론
    • 357
    • +2.88%
    • 스텔라루멘
    • 380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130
    • +3.06%
    • 체인링크
    • 18,540
    • +0.71%
    • 샌드박스
    • 386
    • +2.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