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웨이항공, '차세대·친환경' 항공기 도입…ESG 경영 본격화

입력 2023-01-18 15: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료 효율 높고 탄소 배출 낮은 차세대 친환경 기종

(사진제공=티웨이항공)
(사진제공=티웨이항공)

티웨이항공이 차세대 친환경 항공기로 꼽히는 보잉사 ‘B737-8’ 기종 도입을 통해 ESG 경영에 힘을 쏟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B737-8기종은 신형 엔진과 연료 효율에 최적화된 윙렛(winglet)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된 기종이다. 기존 운용 중인 동급 기종(B737-800) 대비 연료 소모와 탄소 배출을 약 14% 줄이는 등 연료 효율성이 높은 친환경 항공기로 꼽힌다.

좌석 수는 B737-800과 같은 189석으로 경량형 시트를 장착했다. 티웨이항공 관계자는 "보잉 스카이 인테리어(Boeing sky interior)와 피벗(pivot)형 선반이 적용돼 넓고 쾌적한 기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며 "좌석마다 개인 휴대기기 거치대, USB 충전 포트를 구비해 콘텐츠 감상 등 승객 편의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또 기존 운용 중인 기종과 같은 좌석 수로 비교했을 때 최대 운항 거리도 1000km 이상 길어져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중앙아시아 지역까지 운항할 수 있다.

티웨이항공은 지난달 B737-8 1호기를 국내로 도입해 현재 김포-부산 노선에 투입 중이다. 이달 말 2호기 도입을 앞두고 있으며, 추후 국제선 운항에 투입된다.

현재 티웨이항공이 운용 중인 항공기는 △B737-800, 26대 △A330-300, 3대 △B737-8, 1대 등 총 30대다. 앞으로 반납하는 B737-800기종도 차례대로 B737-8기종으로 대체해 기단의 현대화와 동시에 전 세계적인 탄소 배출량 저감 움직임에 동참하기로 했다.

티웨이항공 관계자는 “2023년을 ESG 경영 원년으로 삼고 탄소 배출 저감과 이해관계자 상생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며 “또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까지 보유 기종별 특성에 맞는 노선망을 탄탄히 구축해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 완성차 업계 ‘주 4.5일제’ 논의 재점화…정치권 공약에 노조 요구 탄력
  • ‘찌를 필요 없다’ 먹는 비만약, 국내 시장 재편할까
  • “2나노 주도권 경쟁 본격화”…삼성전자, TSMC와 격차 좁힐까 [ET의 칩스토리]
  • 4월 서울 아파트 거래 68% 급감…‘토허제 역기저’에 강남3구 90%↓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10:1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301,000
    • +2.9%
    • 이더리움
    • 2,670,000
    • +2.57%
    • 비트코인 캐시
    • 524,000
    • -1.96%
    • 리플
    • 3,204
    • +0.95%
    • 솔라나
    • 218,600
    • +2.1%
    • 에이다
    • 1,026
    • +3.32%
    • 이오스
    • 1,012
    • +3.37%
    • 트론
    • 352
    • -1.4%
    • 스텔라루멘
    • 399
    • +1.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150
    • -1.81%
    • 체인링크
    • 21,400
    • +2.15%
    • 샌드박스
    • 443
    • +3.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