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라면 발암 물질 나왔다며 폐기한 대만…전문가 연구 결과는 반전

입력 2023-01-31 09: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용산구 이마트에서 소비자들이 라면을 구매하고 있다.(연합뉴스)
▲서울 용산구 이마트에서 소비자들이 라면을 구매하고 있다.(연합뉴스)

대만과 태국에서 판매된 한국 라면에서 유해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이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국내 학계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30일 한국식품안전연구원이 내놓은 ‘라면 2-클로로에탄올(2-CE) 검출 사건에 대한 의견서’는 이번 사안에서 크게 두 가지 오해가 있다고 짚었다. 대만 당국이 문제 삼은 EO가 실은 2-CE이며, 검출량이 미미해 인체에 위험한 수준이 아닌데도 2-CE를 EO 수치로 환산해 과도한 조치를 취했다는 것이다.

앞서 대만 위생복리부 식품약물관리서(식약서)는 농심의 수출용 ‘신라면 블랙 두부김치 사발’ 제품에서 ‘에틸렌옥사이드(EO)’가 기준치를 초과했다며 1000상자 1128㎏을 반송·폐기 조치했다. 태국 식품의약청도 동일 제품 3000개를 수거해 EO 검출 가능성을 조사 중으로 알려졌다.

EO와 2-CE는 다른 물질이다. EO는 국제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1군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미국 독성물질 관리 프로그램상 ‘K등급’을 받아 인체 발암 원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2-CE는 유해물질이긴 하나 발암물질은 아니다. 농약 성분인 EO의 부산물(대사산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토양이나 환경에도 천연으로 존재해 일정 농도 검출될 수 있다.

해당 분야 학계 인사들로 구성된 식품안전연구원은 의견서에서 “유럽연합(EU)은 2-CE를 EO의 대사산물로 보고 검출된 EO와 2-CE 합을 EO로 표시한다.

유럽에 수출한 한국 라면에서 2-CE가 검출돼 회수 조치하긴 했지만, 잔류량이 워낙 미량이라 독일 연방위해평가연구소(BfR)의 평가 결과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란 결론이 나왔다”고 설명한 뒤 “이를 알면서도 대만이 흠집 내기에 나선 것이다. 대만이 라면 수프에서 검출했다고 하는 EO는 사실 2-CE”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버이날 선물이었는데…포장 뜯은 '민낯' 투썸 케이크에 당황 [해시태그]
  • 9년 만에 출국 준비…K팝, '금기의 중국 무대' 다시 노린다 [엔터로그]
  • 서울고법, ‘李 선거법’ 파기환송심 첫 공판 6월 18일로 연기
  • 최태원 SK회장 공식사과..."문제해결 위해 책임 다하겠다"
  • 가족사진 무료라더니 앨범·액자 비용 폭탄…가정의 달 사기 주의보 [데이터클립]
  • 단독 “차액가맹금 돌려달라”…맘스터치 가맹점주 200여명도 소송 나섰다
  • 범죄 피해 입었을 때 빠르게 회복하려면…‘범죄 피해자 구조금 제도’ 이용해볼까 [경제한줌]
  • 빅딜 시동 건 삼성전자, 다음 M&A 타깃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694,000
    • +1.39%
    • 이더리움
    • 2,556,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507,500
    • -1.17%
    • 리플
    • 3,004
    • -0.92%
    • 솔라나
    • 208,000
    • +1.32%
    • 에이다
    • 942
    • +0%
    • 이오스
    • 1,101
    • +13.39%
    • 트론
    • 351
    • +0.86%
    • 스텔라루멘
    • 368
    • +0.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650
    • -0.39%
    • 체인링크
    • 19,300
    • +0.05%
    • 샌드박스
    • 383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