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언팩 2023] 노태문 “올해 삼성 스마트폰 두 자릿수 성장...울트라가 견인”

입력 2023-02-0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노태문 사장 국내 기자 간담회
울트라 판매 비중 50% 이상 예상…노트 경험 집약
가격 인상은 원자재 인상, 환율 변동으로 불가피
GOS 논란 탈피 위해 게이밍 성능 대폭 향상

▲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체이스 센터에서 삼성전자 MX사업부장 노태문 사장이 국내 기자들과 만나 새롭게 출시하는 갤럭시 S23의 판매 전략과 스마트폰 사업 전망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체이스 센터에서 삼성전자 MX사업부장 노태문 사장이 국내 기자들과 만나 새롭게 출시하는 갤럭시 S23의 판매 전략과 스마트폰 사업 전망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갤럭시 S 시리즈와 폴더블 시리즈 모두 글로벌 연간 판매량이 지난해 대비 각각 두 자릿수 성장할 것입니다. 최고의 연결경험, 카메라 경험, 게이밍 경험에 더해 지속 가능성과 보안성 등 어느 것 하나 소홀하지 않았다고 자부합니다.

노태문 삼성전자 MX(모바일경험)사업부장(사장)은 1일(현지시간) ‘갤럭시 언팩 2023’ 행사 직후 미국 샌프란시스코 체이스 센터에서 가진 국내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노 사장은 새롭게 출시한 ‘갤럭시 S23’ 시리즈를 필두로 올해 삼성 스마트폰 판매량을 10% 이상 끌어올릴 것이라고 자신했다. 특히 프리미엄 모델인 ‘갤럭시S23 울트라’가 판매량을 견인할 것이라는 예측도 했다. 그는 “출시 초반이지만 글로벌 이통통신사, 대형유통, 리테일 등 거래선의 초기 반응이 매우 좋다”고 말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올해 S23 시리즈 중 울트라 판매 비중이 50% 이상 달성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울트라가 전체 판매량을 견인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울트라 모델은 S펜과 노트의 생산성, 카메라 경험을 집대성해 아직도 노트를 사용 중인 수천만 명의 고객을 포함, 더 많은 고객의 사랑을 받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편 갤럭시 S23 시리즈의 가격 인상과 관련해서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갤럭시 S23은 출시 가격 115만5000원으로 전작(갤럭시 S22) 대비 15만 원 인상됐다. 갤럭시 S 시리즈 기본 모델이 100만 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대해 노 사장은 ”가격을 결정할 때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변동으로 고민과 어려움이 많았다”며 “이를 고려해 한국 시장에서는 최소한의 인상을 반영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체이스 센터에서 삼성전자 MX사업부장 노태문 사장이 국내 기자들과 만나 새롭게 출시하는 갤럭시 S23의 판매 전략과 스마트폰 사업 전망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체이스 센터에서 삼성전자 MX사업부장 노태문 사장이 국내 기자들과 만나 새롭게 출시하는 갤럭시 S23의 판매 전략과 스마트폰 사업 전망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한편 이번 갤럭시 S23은 전작에서 불거진 GOS 논란을 탈피하기 위해 게이머를 겨냥한 성능 향상에 승부를 걸었다. 지난해 갤럭시 S22는 고성능 게임 구동 시 발열을 막기 위해 스마트폰 성능을 제한하는 GOS(게임 최적화 서비스) 기능으로 홍역을 치렀었다.

그는 “모바일 게임에 대한 요구와 기대수준이 높아지고 있는걸 봐서 갤럭시 S23에서는 특별히 그 부분들을 준비하고 개발해서 적용했다”며 “전작대비 GPU 성능을 40% 이상 끌어올린 이유도 게임에 대한 부분을 좀 더 포커싱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말 신설한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솔루션 개발팀 역시 순항 중이다. 지난 1일 열린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도 삼성전자는 갤럭시 제품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을 밝혔었다.

이에 대해 노 사장은 “첫 번째 협력과 결과물이 이번에 S23에 적용된 제품들로부터 시작됐다”며 “전략 파트너사와 협력해 그 회사들의 강점은 살리고, 우리가 잘하는 부분은 커스터마이즈화해서 같이 적용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시장에서 겪고 있는 삼성 스마트폰의 부진에 대해서는 실적 턴어라운드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했다.

노 사장은 “갤럭시의 성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에서의 턴어라운드 회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안다”며 “제품이나 전략 방향을 중국 소비자들에게 더 특화하고 최적화하는 솔루션으로 바꿔서 중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황 이름이 '스포일러'라고?…콘클라베에 담길 '신념의 무게' [이슈크래커]
  • ‘협력+경쟁’ 시대…산업 생태계 新 생존 키워드 [2025 ‘코피티션’ 上]
  • 전 세계 中 공세 '방어막'…무방비국 된 韓 [무역전쟁 유탄, 저가 쓰나미 下]
  • 의대생 수업 복귀 ‘미지수’…강의실 ‘텅텅’ [의대정원 ‘동결’ 그 후]
  • "600만 원 결제했는데 환불 거부"…늘어나는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데이터클립]
  • 폴더블폰 전쟁 뛰어든 애플… 삼성의 '위기와 기회'
  • “트럼프 투자 요구할라” 셈법 복잡해진 조선사들
  • '이혼숙려캠프' 나온 전 축구선수 강지용 사망…향년 35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10:3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465,000
    • +4.7%
    • 이더리움
    • 2,540,000
    • +11.26%
    • 비트코인 캐시
    • 520,000
    • +4.33%
    • 리플
    • 3,164
    • +4.84%
    • 솔라나
    • 212,800
    • +6.4%
    • 에이다
    • 979
    • +7.94%
    • 이오스
    • 958
    • +4.02%
    • 트론
    • 355
    • +0%
    • 스텔라루멘
    • 381
    • +5.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170
    • +4.99%
    • 체인링크
    • 20,390
    • +6.7%
    • 샌드박스
    • 425
    • +8.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