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그래미 어워즈’ 삼수 도전 성공할까

입력 2023-02-05 08: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베스트 팝 듀오 그룹·베스트 뮤직비디오 부문 후보 올라
6일 오전 미 LA서 시상식…방탄소년단은 불참

▲그룹 방탄소년단(BTS). 사진제공=빅히트뮤직
▲그룹 방탄소년단(BTS). 사진제공=빅히트뮤직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그래미 어워즈’ 세 번째 도전에 나선다.

방탄소년단은 6일(한국시간) 오전 미국 로스앤젤러스에서 열리는 최고 권위의 대중음악 시상식 ‘제65회 그래미 어워즈’에서 ‘베스트 팝 듀오 그룹 퍼포먼스’와 ‘베스트 뮤직 비디오’ 부문 후보에 올랐다.

방탄소년단이 협업한 곡 ‘마이 유니버스’가 수록된 밴드 콜드플레이 9집 ‘뮤직 오브 더 스피어스’가 4대 본상 ‘제너럴 필즈’ 가운데 하나인 ‘앨범 오브 더 이어’ 후보에 포함됐다. 이 부문에서는 피처링 참여 아티스트, 송라이터, 엔지니어 모두를 수상자로 기록한다.

이에 콜드플레이가 수상하면 방탄소년단은 ‘앨범 오브 더 이어’ 수상 기록도 갖게 된다. 또 이 앨범에 송라이터로 참여한 멤버 RM, 슈가, 제이홉도 기록이 등재된다.

▲사진은 2018년 그래미 어워즈 그래미 트로피.AFP 연합뉴스
▲사진은 2018년 그래미 어워즈 그래미 트로피.AFP 연합뉴스

방탄소년단은 제63회와 제64회 시상식에서도 글로벌 히트곡 ‘다이너마이트’와 ‘버터’로 ‘베스트 팝 듀오 그룹 퍼포먼스’ 부문 후보에 올랐지만 아쉽게도 수상하지는 못했다. 이에 이들의 그라모폰(그래미 트로피) 도전은 이번이 세 번째다.

‘베스트 팝 듀오 그룹 퍼포먼스’ 부문에서는 방탄소년단 외에 아바, 카밀라 카베요·에드 시런, 포스트 말론·도자 캣, 샘 스미스·킴 페트라스 등 쟁쟁한 팝스타들이 경쟁하고 있다.

한국어 노래 ‘옛 투 컴’으로 최종 후보에 올라 눈길을 끈 ‘베스트 뮤직비디오’ 부문에서는 방탄소년단 말고도 아델, 도자 캣, 켄드릭 라마, 해리 스타일스, 테일러 스위프트 등 스타들이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앞서 한국인 가운데에서는 소프라노 조수미(1993년)와 음반 엔지니어인 황병준 사운드미러코리아 대표(2012년·2016년)가 ‘그래미 어워즈’에서 수상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신의 쓰레기봉투가 파헤쳐진다…과태료 파파라치 괴담, 진짜일까? [해시태그]
  • 대기업 회장님도 유느님도 탔던 '제네시스'…럭셔리 국산차의 산 증인 [셀럽의카]
  • 환율ㆍ원자재까지 온통 잿빛 전장…산업계 ‘시계제로’
  • “이젠 모르겠다” 월가, 트럼프발 증시 급등락에 한숨
  •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매력 ‘시들’…연 3%대 사라졌다
  • ‘폭싹 속았수다’로 왕좌 굳힌 넷플릭스…쿠팡·티빙은 2위 쟁탈전
  • 트럼프, 중국에 ‘145%’ 관세…시진핑은 동남아 3국으로 ‘우방 결속’
  • 대만 간 이주은 치어리더, LG 트윈스 유니폼 입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75,000
    • +3.12%
    • 이더리움
    • 2,280,000
    • +1.51%
    • 비트코인 캐시
    • 456,500
    • +7.29%
    • 리플
    • 2,977
    • +2.3%
    • 솔라나
    • 175,400
    • +6.63%
    • 에이다
    • 915
    • +3.39%
    • 이오스
    • 912
    • -0.87%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342
    • +1.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890
    • +3.71%
    • 체인링크
    • 18,540
    • +4.39%
    • 샌드박스
    • 381
    • +1.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