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 4000억 원 규모 ESG채권 발행…계획 대비 2배 늘려

입력 2023-02-17 15: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포스코케미칼이 ESG 채권 수요예측에 흥행하자 발행 규모를 애초 계획 대비 2배 늘리기로 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이달 15일 ESG채권 수요예측 결과 높은 성장성과 신용등급(AA-)에 힘입어 모집금액(2000억 원)의 7.8배에 달하는 1조5500억 원의 자금이 몰려 채권 발행 규모를 4000억 원으로 증액한다고 17일 밝혔다.

포스코케미칼은 기존에 계획했던 금액 외 2000억 원의 채권을 추가로 발행함에 따라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 증설과 양극재 원료 확보 등 배터리소재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더욱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이번에 발행되는 채권은 만기 3년물 2500억 원, 만기 5년물 1500억 원으로 구성되며 4000억 원 모두 개별민평금리 보다 낮은 금리로 발행된다. 만기 3년물은 개별민평금리 보다 0.25%포인트(p), 만기 5년물은 0.30%p 낮은 이자율이다. 금리는 이달 22일 기준 개별민평금리를 반영해 최종 결정된다.

포스코케미칼은 글로벌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자금 시장 유동성이 축소된 상황에서 투자금이 몰린 것은 기술 경쟁력과 포스코그룹 내 원료부터 소재 생산까지 이르는 종합 밸류체인 확보 등 차별화된 사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을 이어 나갈 것이라는 자금 시장의 기대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했다.

ESG채권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개선 등 사회적 책임투자를 위해 발행되는 채권이며 사용 목적에 따라 녹색채권,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으로 분류된다. 포스코케미칼은 친환경 사업 투자를 위한 녹색채권으로 발행한다.

포스코케미칼은 채권 발행에 앞서 한국신용평가의 ‘ESG 금융상품 인증 평가’를 통해 배터리소재 사업의 환경개선효과와 자금관리 및 공시의 투명성을 인정받아 최고 등급인 'GB1'을 지난 1월 획득한 바 있다.

이는 배터리소재 사업에서 203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로드맵을 수립하고 양·음극재 환경성적표지 인증 획득,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 공정 과정에서의 탄소배출 감소를 위해 역량을 집중해 온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신용평가는 책임광물 관리 체계 구축, 기업시민 경영이념 기반 사회공헌활동 등 ESG 성과가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포스코케미칼 최고재무책임자(CFO) 윤덕일 부사장은 “이번 ESG 채권 발행으로 회사의 성장성에 대한 높은 기대와 ESG 경영 성과를 투자자들에게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며 “배터리소재 사업 경쟁력과 친환경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인사 전략 손보는 우리은행…정진완 式 지역 맞춤형 인사 전략 가동
  • 대선 패션왕?…유세복에도 '전략' 숨어있다 [왕이 될 상인가]
  • 美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털렸다⋯해킹 피해 복구 금액 무려
  • ‘셀코리아’ 외국인 9달째 한국 주식 발 뺀다…지난달 13조 넘게 순매도
  • 러닝화 시장 1조 원 돌파…유통업계, MZ ‘러닝족’ 공략 더 빨라져
  • '음주 뺑소니' 김호중, 상고 포기⋯징역 2년 6개월 확정 "오랜 고민 끝에 결정"
  • 서울·대전·부산·울산·광주 오늘(16일) 비…프로야구 우천취소 될까
  • '나솔사계' 14기 경수♥국화, 최종 커플 탄생⋯10기 영식-백합은 불발 "좋은 분이지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6 09:2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80,000
    • +0.06%
    • 이더리움
    • 3,594,000
    • -3.15%
    • 비트코인 캐시
    • 558,500
    • -1.93%
    • 리플
    • 3,355
    • -7.14%
    • 솔라나
    • 240,100
    • -4.11%
    • 에이다
    • 1,078
    • -5.19%
    • 이오스
    • 1,113
    • -1.42%
    • 트론
    • 385
    • -0.52%
    • 스텔라루멘
    • 412
    • -4.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700
    • -5.4%
    • 체인링크
    • 22,570
    • -6.66%
    • 샌드박스
    • 455
    • -9.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