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배 실장 “원주 의료기기산업 성장 동력 ‘정책의 일관성’”

입력 2023-03-08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3-03-07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K바이오 심장을 가다] 양명배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전략기획실 실장

(노상우 기자 nswreal@)
(노상우 기자 nswreal@)

“원주에서 의료기기 산업이 성장하게 된 가장 큰 동력 중 하나는 정책의 일관성입니다. 중앙정부의 도움 없이도 꾸준히 지속한 결과, 의료기기 특화도시로 성장하게 됐습니다.”

최근 본지와 만난 양명배<사진>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전략기획실장은 원주가 의료기기 특화도시로 거듭날 수 있었던 요인으로 지자체 정책 일관성을 꼽았다.

1군사령부가 위치해 군사도시 이미지가 강했던 원주는 1990년대부터 지역 대표산업 육성 사업을 마련해야 했다. 원주시와 연세대 원주캠퍼스의 의지로 시작된 의료기기산업은 10개의 바이오벤처로 시작했지만, 이제 200여 개의 기업이 입주할 만큼 성장했다.

지난해 연 매출 683억 원을 기록한 코스닥 상장기업 ‘메디아나’, 아시아 최초로 심장제세동기를 출시한 ‘씨유메디칼시스템’, 심전도 원격 모니터링 솔루션 기업 ‘메쥬’ 등 원주를 대표하는 의료기기업체도 많아졌다.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는 의료기기업체의 글로벌시장 진출을 적극 돕고 있다. 양 실장은 “국내 의료기기 시장이 작다 보니 매출 대부분이 해외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해외 의료기기 인증에 대한 기준이 높아지고 있어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증팀을 신설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라고 밝혔다.

규제·인증 관련 전문인력도 양성하고 있다. 양 실장은 “국내 의료기기 기업 대부분은 규모가 작아서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라며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규제과학(Regulatory Affairs, RA) 전문가 교육기관으로 지정받아 인재 양성에 나서고 있다. 또한 업체 관계자를 대상으로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장에 답이 있다’라는 철학 아래 기업을 주기적으로 방문해 필요로 하는 부분을 확인하고 있다”고 한 양 실장은 꾸준한 지원을 약속했다. 그는 “기업들이 원주로 이전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겠다. 지자체장이 바뀌어도 지원은 꾸준히 이어갈 것”이라며 “중앙정부의 도움없이 지자체 정책 일관성으로 이만큼 성장했다. 정부도 바이오헬스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밝힌 만큼, 원주도 발맞춰 산업 육성에 더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 단독 현대차 정연추, 성과급 퇴직금 적용 소송 추진⋯승소 시 인당 최대 1억 환급
  • "청년적금" "반값월세" "여가부 폐지"…청년 표심 어디로?
  • 절판된 책 구하고 싶다면…‘우편 복사 서비스’로 해결 [경제한줌]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리플은 왜 서클을 탐내나…올해 '신의 한 수' 될까 [블록렌즈]
  • 임신 소식 앞에 미안함부터 꺼낸 임라라, 왜 난임부부를 떠올렸을까? [해시태그]
  • 이세돌 '데블스 플랜'→왕의 귀환 '크라임씬'…두뇌 서바이벌 판도, 어떻게 더 커졌나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꿍디꿍디
    원주시에 있는 의료기기기업 종사자입니다. 국내 의료기기산업 현황에 대해 파악은 하고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20년 기준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시장규모는 130조 이상 전년대비 8% 성장했고, 원주 의료기기산업의 성장동력에 문제점을 파악 못하고 있네요. WMIT에서 전문적인 지원보단 형식적인 지원, 보여주기식 지원으로 수년동안 해오시지 않았나요? “현장에 답이 있다” 좋은 말이지요. 기업방문은 식사하로 오시는게 아니셨나요? 인허가 절차 및 MDD,MDR의 차이점은 아시는지요? 인허가에 대한 이해와 전문가가 먼저 되시기를 권장합니다
    2023-03-08 22:04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80,000
    • +0.61%
    • 이더리움
    • 3,580,000
    • +1.5%
    • 비트코인 캐시
    • 564,500
    • -2.42%
    • 리플
    • 3,546
    • -1.31%
    • 솔라나
    • 243,500
    • -1.81%
    • 에이다
    • 1,118
    • -3.45%
    • 이오스
    • 1,206
    • -4.44%
    • 트론
    • 377
    • -2.58%
    • 스텔라루멘
    • 428
    • -4.8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300
    • -3.41%
    • 체인링크
    • 23,440
    • -1.88%
    • 샌드박스
    • 486
    • -4.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