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한미정부 NCND로 기정사실화 돼와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방위공약 강조 예정"
바이든의 2번째 국빈초청…MB 이후 12년만
국빈만찬 예정만 밝혀…김대중·MB 이어 의회연설 하나
안보 외 우주개발에 양자·AI 기술협력도 논의 전망
3월 한일회담서 과거사 매듭지으면 한미일 협력 강화
3월 한일·4월 한미·5월 한미일 연쇄 정상회담 할 듯

윤석열 대통령이 내달 26일 미국을 국빈방문 한다.
미 백악관은 7일(현지시간) 카린 장-피에르 대변인 명의 성명을 통해 “조 바이든 대통령과 질 바이든 여사가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내달 26일에 미국에 국빈방문(State Visit) 형식으로 초청했다”고 밝혔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이 한미정상회담 조율을 위해 5일부터 방미하는 와중에 백악관이 윤 대통령의 국빈방문 예정을 알린 것이다.
앞서 지난달 미 블룸버그통신은 백악관이 4월 윤 대통령 국빈 만찬을 준비 중이라는 보도를 한 바 있다. 당시 용산 대통령실과 우리 정부는 “미 행정부의 공식입장이 아니다”고 했고, 미 정부는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다. ‘NCND(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 대응)’ 대응이라 사실상 4월 국빈방문은 기정사실로 여겨져왔다.
관련 뉴스
백악관은 “이번 정상회담은 올해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한미 양국과 인도·태평양을 비롯해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정, 번영을 증진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하다”며 “한미정상은 철통같은 동맹의 중요성과 한국에 대한 미국의 변함없는 방위 공약을 강조할 예정이고, 정치적·경제적·안보적·인적 연대를 심화하고 확대키 위한 공동의 의지를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의 국빈 방문은 바이든 대통령으로서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 이어 취임 후 두 번째가 된다. 또 한국 대통령의 미 국빈 방문은 이명박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에 이뤄진다.

국빈 방문은 외국 정상에 대한 최고 수준 예우로 정상회담은 물론 의장대 사열·공식 환영식·예포 발사·국빈 만찬·고위급 환영 및 환송식 등 일정이 이뤄진다. 주목되는 건 윤 대통령이 미 의회 연설에 나설지 여부다. 이 전 대통령은 미 펜타곤에서 안보 정세 브리핑을 받고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13년 만에 처음으로 미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한 바 있다.
현재로서는 미 의회 연설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 백악관은 “국빈 만찬 등을 포함하는 일정”이라고만 설명했다.
한미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는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이하는 만큼 안보 문제가 될 전망이다. 앞서 한미회담을 조율을 위해 지난달 방미한 박진 외교부 장관도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과 확장억제 실효성 제고와 북한의 불법 자금 조달 차단을 논의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이 우주경제 로드맵을 발표하며 힘을 주고 있는 우주개발도 의제로 오를 전망이다. 박 장관은 2일 빌 넬슨 미 항공우주국(NASA) 국장을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또 양자와 인공지능(AI) 등 첨단 핵심기술 협력도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이번 한미회담은 우리 정부가 강제징용 문제 해법을 공식화한 뒤라는 점에서 한미일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16~17일 한일회담이 개최될 전망이라 강제징용 등 과거사 문제가 이달 내 매듭지어질 수도 있다. 이후 내달 한미회담에 이어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 계기 한미일정상회담까지 연쇄적으로 열리며 한미일 공조가 심화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