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8명 "반도체·전기차·배터리 등 첨단산업 육성은 경제안보 이슈"

입력 2023-03-12 13: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한상의, '첨단산업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 발표

▲삼성전자 직원이 시스템LSI 반도체 생산라인서 제품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직원이 시스템LSI 반도체 생산라인서 제품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삼성전자)

국민 10명 중 8명은 반도체·전기차·배터리 등 첨단산업 육성 문제를 경제안보 수준의 이슈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민 1016명을 대상으로 벌인 ‘첨단산업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9.1%는 첨단산업의 주도권 확보 경쟁을 국가의 미래와 명운을 가를 경제안보 수준의 이슈로 인식한다고 응답했다. 경제안보 수준의 이슈가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은 3.5%에 그쳤다.

우리 정부의 첨단산업 육성책이 주요국들보다 더 과감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보조금·세액공제 등으로 첨단산업을 지원 중인 주요국들 대비 우리 정부의 육성 및 지원책은 어느 정도 수준이어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10명 중 9명(91.6%)이 주요국 수준 이상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대한상의는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산업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수 조 단위의 대규모 투자를 매년 지속해야 하지만, 현실은 자금 사정과 조달여건 악화로 투자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기업 체감상 경쟁국의 지원책이 더 매력적일 경우 국내 투자가 상대적으로 위축될 우려가 큰 만큼, 보조금 신설이나 정책금융의 확장 운영 등 좀 더 과감한 지원책을 정부가 검토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부 차원의 첨단산업 지원 확대 필요성에 대해서도 국민 10명 중 6명(59%)이 공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자 중 41.3%가 '대기업 지원이라는 논란을 감수하더라도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했고, '대기업 지원이라는 지적에 공감하지 않지만, 정부의 지원 확대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한 데에는 24.2%가 답했다. '대기업 지원이라는 지적에 공감하지 않으며 반드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라는 응답은 17.7%였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국민 상당수가 첨단산업의 문제를 국가 경제의 미래와 직결된 ‘경제안보’의 이슈로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음이 확인됐다"며 "국회와 정부가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소모적 논쟁 대신 국가 경제와 산업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전향적 결정들을 내려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끝내 사망
  • 트럼프發 오락가락 관세에 미국도 혼란…잇따르는 ‘사재기 대란’ [이슈크래커]
  • ‘맨유 이적 임박’ 기사 없으면 유럽파 아니다? [해시태그]
  • 늘어나면 자사주 취득·소각…주가 부양 효과는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법원, 뉴진스 이의신청 기각…‘독자활동 금지’ 유지
  • 단독 영화관 3사 장애인 관람석 300개 이상 줄었다…통계 자료도 미비
  • 부자들이 달라졌다…부동산보다 금ㆍ채권 투자 '주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277,000
    • -0.21%
    • 이더리움
    • 2,300,000
    • -2.04%
    • 비트코인 캐시
    • 466,200
    • -1.06%
    • 리플
    • 3,059
    • -1%
    • 솔라나
    • 192,500
    • +3.38%
    • 에이다
    • 896
    • -0.78%
    • 이오스
    • 908
    • +4.61%
    • 트론
    • 363
    • -0.82%
    • 스텔라루멘
    • 346
    • -0.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620
    • +0.97%
    • 체인링크
    • 17,990
    • -0.44%
    • 샌드박스
    • 360
    • -1.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