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성적 높을수록 국어는 '언매'…수학 1~2등급 70%이상 선택

입력 2023-03-13 11: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표준점수 고득점 위한 언어와매체 선택과목 쏠림 심화

▲2023학년도 수능 수학 성적대별 '언어와 매체' 선택 현황. (진학사)
▲2023학년도 수능 수학 성적대별 '언어와 매체' 선택 현황. (진학사)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이 높을수록 국어영역 선택과목으로 ‘언어와매체(언매)’를 치르는 수험생이 많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문·이과 통합 3년 차에 접어드는 올해 수능에서도 선택과목 유불리에 따른 특정 과목 쏠림과 '문과 침공' 등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진학사는 자사 누리집에 2023학년도 수능 성적을 입력한 수험생 17만1489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학에서 1~2등급을 받은 상위권 수험생 중 '언매'를 선택한 비율은 70.4%에 달했다. 3~4등급에서는 '화법과 작문'(화작)을 선택한 학생들이 더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탐구 영역에서도 똑같이 나타났다. 탐구영역 1~2등급 수험생 가운데 64.5%가 '언매'를 택했고 3~4등급에선 '화작'을 치른 수험생이 더 많았다.

통합수능의 도입 취지는 학생이 문·이과 구분 없이 자신의 진로·적성에 맞는 과목을 공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었지만, 선택과목 유불리 현상 때문에 그 취지가 무색해졌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통합수능 국어영역과 수학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형태로 실시되는데, 통상 어려운 선택과목을 치르는 집단이 선택과목 표준점수가 더 높기 때문에 상위권 수험생이 몰린다.

이에 수학 영역에서 '미적분·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이 높은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상위권 대학 인문계열에 교차지원하는 '문과침공'도 논란이 되는 상황이다.

실제 진학사 분석 결과 과학탐구(과탐)를 선택한 학생 중 '제2외국어·한문'을 응시한 수험생의 비율은 2022학년도 6.3%에서 2023학년도에는 12.6%로 2배 늘었다.

상위권 대학 자연계 정시에서는 서울대를 제외하면 제2외국어·한문영역 점수를 활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학생들은 대부분 서울대 교차지원을 염두에 두고 선택과목을 정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과탐(2과목 평균) 성적이 1∼2등급대인 상위권 학생 가운데 제2외국어·한문 응시율은 23.3%(2022학년도 10.8%)에 달했다. 4명 중 1명꼴로 서울대 교차지원 가능성을 열어 둔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누구나 수능에서 좋은 성적을 받고자 하기 때문에 표준점수 획득이 유리한 과목으로 선택이 쏠리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번 2024학년도에도 수능 체계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어 "다만, 무조건 남들이 유리하다고 하는 과목을 선택했다가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으니 자신이 그 과목을 충분히 준비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400,000
    • -0.48%
    • 이더리움
    • 2,303,000
    • -1.07%
    • 비트코인 캐시
    • 494,300
    • +2.59%
    • 리플
    • 3,007
    • -0.79%
    • 솔라나
    • 193,800
    • -1.12%
    • 에이다
    • 906
    • -0.11%
    • 이오스
    • 909
    • -1.3%
    • 트론
    • 351
    • -2.77%
    • 스텔라루멘
    • 351
    • +0.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50
    • +1.87%
    • 체인링크
    • 18,280
    • -0.05%
    • 샌드박스
    • 376
    • +3.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