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재태크] 한국투자증권, ‘글로벌전기차&배터리펀드’…전기차·모빌리티 혁신에 투자

입력 2023-03-2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한국투자증권
▲출처=한국투자증권

지난 겨울은 기록적인 한파와 폭설에 전 세계 곳곳에서 피해가 속출했다. WMO(세계기상기구)에 따르면 전 지구 온실가스 농도(413.2ppm), 해수온 및 해양 열용량(전년 대비 14ZJ 증가), 해수면 상승(전년 대비 8mm 상승), 해양 산성도(pH 8.05)는 역대 최고치다. 전 세계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탄소 절감 노력을 계속 강조하는 이유다.

전기차 산업에 대한 관심도 확대되고 있다. 최근 급격한 금리인상의 여파로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고점 대비 내려와 있다. 전기차 시장에 투자하고 싶지만 개별 종목을 선택하기 부담스러운 투자자라면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전기차와 배터리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펀드는 ‘한국투자글로벌전기차&배터리펀드’다. 전기차를 중심으로 성장하는 자율주행, 공유차 산업의 융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모빌리티(이동수단)혁신에 주목하며, 주요 투자대상은 전기차와 부품, 배터리 생산 기업, 그리고 자율주행 기술을 보유한 기업 및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다.

이 펀드는 전기차·모빌리티 시장을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공유차 관련산업 등 4가지로 구분하고 관련 핵심기술이나 자원을 보유한 종목,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 재무구조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종목 등을 선별한다. 이후 시가총액, 재무제표 안정성, 상장 여부 등 여러 요소를 검토해 투자군을 확정한다. 단순히 정량적 판단에 그치지 않고 시장의 신규 트렌드를 반영해 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카테고리별 코어 종목을 일정 부분 유지하되, 나머지 비중은 시장의 변화 흐름을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운용한다.

또한 전기차 밸류체인에서 독점력을 가지고 있는 종목을 선별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되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역별로도 펀드 포트폴리오를 분산해서 변동성을 줄인다. A클래스와 C클래스로 나뉘며 A클래스는 선취판매수수료 1%에 연 보수 1.518%, C클래스는 연 보수 2.068%다. 별도의 환매수수료는 없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한미 정상 첫 통화, 韓 대행 "조선, LNG, 무역균형 3대 분야서 협력" [종합]
  • 카카오, 선택과 집중…카카오엔터 매각 추진
  • K-제약·바이오, 항암신약 성과 ‘AACR 2025’서 뽐낸다
  • 매운소스 2t·닭 1200마리로 찾아낸 ‘불닭’ 매운맛, 자꾸만 생각나는 이유[K-라면 신의 한수③]
  • 배터리 ‘탈중국’ 속도 내지만…갈길 먼 소재업체 [공급망 전쟁의 서막③]
  • 금융지주 실적 갉아먹는 신탁사… 그룹 부실 최종 종착지[선넘은 신탁사 부실下] ①
  • 홍상수·김민희 득남…만남 10년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15: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5,645,000
    • -2.69%
    • 이더리움
    • 2,200,000
    • -6.82%
    • 비트코인 캐시
    • 410,000
    • -0.99%
    • 리플
    • 2,716
    • -3%
    • 솔라나
    • 158,900
    • -2.99%
    • 에이다
    • 854
    • -2.51%
    • 이오스
    • 992
    • -9.9%
    • 트론
    • 343
    • -1.44%
    • 스텔라루멘
    • 332
    • -3.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8,920
    • -4.14%
    • 체인링크
    • 16,680
    • -3.92%
    • 샌드박스
    • 357
    • -0.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