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천안함 피격, 북한 무력 도발…반드시 대가 치를 것”

입력 2023-03-24 11: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尹, 기념사 앞서 제2연평해전·연평도 포격전·천안함 피격 용사 55명 울먹이며 직접 호명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8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서해수호 55용사 이름을 부르기 전에 울먹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8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서해수호 55용사 이름을 부르기 전에 울먹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4일 천안함 피격을 북한의 소행이라 천명하고 서해수호 용사 55명을 호명하며 위훈을 기렸다.

윤 대통령은 이날 김건희 여사와 함께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제2연평해전·연평도 포격전·천안함 묘역과 고(故) 한주호 준위 묘소를 찾아 유가족 및 참전 장병들과 참배한 뒤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이곳 국립대전현충원에는 서해를 지키다 장렬히 산화한 54명의 용사와 고 한주호 준위가 잠들어 계신다”며 “대한민국 국민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숭고한 희생을 한 서해수호 용사들께 경의를 표하며 머리 숙여 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8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 앞서 고 민평기 상사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8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 앞서 고 민평기 상사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우리 해군과 해병대 장병들은 연평해전, 대청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전 등 수많은 북한의 무력 도발로부터 NLL(북방한계선)과 우리의 영토를 피로써 지켜냈다”며 “우리 국민들이 남북한 대치 상황에서 마음 놓고 일상을 영위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분들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조국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분들을 기억하고 예우하지 않는다면 국가라고 할 수 없다. 국가의 미래도 없다”며 “여러분의 소중한 가족과 전우들은 북한의 도발에 맞서 우리의 자유를 지킨 영웅들이다. 우리 국민과 함께 국가의 이름으로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켜낸 위대한 영웅들을 영원히 기억하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정부와 군은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와 도발에 맞서 한국형 3축 체계를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한미·한미일 안보협력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며 “북한의 무모한 도발은 반드시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4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8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현충탑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4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제8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현충탑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 앞서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직접 서해수호 용사 55명의 이름을 한 명 한 명 부르며 위훈을 기렸다.

윤 대통령은 “누군가를 잊지 못해 부르는 건 영원히 기억하겠다는 다짐이다. 그가 꿈을 향해 달리고 가족과 함께 웃는 행복한 하루를 보내도록 국가와 국민을 지켜내는 게 자신들의 꿈이었던 영원한 바다 사나이 쉰 다섯 분의 영웅의 이름을 불러보겠다”며 용사들의 이름을 부르면서 울먹이는 모습을 보였다.

또 윤 대통령 부부는 55명 용사의 유가족 대표 및 참전 장병들과 주요 인사 좌석에 함께 자리했고, 헌화·분향도 함께 나섰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 무대 우측 모형 함정에 배치된 3‧26기관총, 참수리 357호정과 천안함에 게양됐던 항해기와 부대기 및 함정 명패, 연평도 포격전 당시 북한의 방사포탄 파편을 맞은 중화기 중대 명판 등 서해수호 전적 전시물을 살펴보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북한의 무력 도발을 절대 잊어선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823,000
    • +1.74%
    • 이더리움
    • 2,600,000
    • +2.65%
    • 비트코인 캐시
    • 547,000
    • +8.75%
    • 리플
    • 3,166
    • -0.03%
    • 솔라나
    • 219,000
    • +0.78%
    • 에이다
    • 1,033
    • +0%
    • 이오스
    • 989
    • +1.85%
    • 트론
    • 349
    • -1.69%
    • 스텔라루멘
    • 411
    • +1.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700
    • +53.55%
    • 체인링크
    • 21,690
    • +0.37%
    • 샌드박스
    • 447
    • +3.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