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텍스프리, 외국인 관광객 70%만 회복해도 19년 매출 돌파

입력 2023-03-29 0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DS투자증권,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4700원 제시

(출처=DS투자증권)
(출처=DS투자증권)

DS투자증권은 29일 글로벌텍스프리에 대해 외국인 관광객이 70%만 회복해도 2019년 매출을 넘어설 전망이라며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4700원을 제시했다.

김수현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인 1인당 세급 환급 수수료 매출액은 2019년 평균 3908원에서 2022년 12월 기준 1만2234원까지 3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중국인 외 기타 외국인의 1인당 매출액도 2019년 1877원에서 2022년 12월 3095원까지 증가했다"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2019년 대비 국내 외국인 여행객 유입 회복률은 37%인 반면 글로벌텍스프리의 2019년 대비 매출 회복률(월평균)은 50% 수준인 것도 1인당 매출 증가 근거를 뒷받침한다"며 "펜데믹 기간 환급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율 변화가 없었던 만큼 실제 해외 여행객 1인당 소비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라고 설명했다.

또 김 연구원은 "외국인 관광객 입국자 수의 회복률이 2019년 대비 70%에 도달할 경우 2019년 매출을 넘어서게 된다"며 "펜데믹 기간 가장 큰 변화는 △일본, 대만 및 싱가포르 태국 등의 비중국인 여행객 증가 △태국, 싱가포르, 미국 및 인도네시아는 매출 기준으로 이미 2019년 매출 규모를 넘어서고 있으며 △미국인과 일본인 관광객의 1인당 매출액이 2019년 대비 각각 260%, 240%로 가장 높은 상승을 보인 점이다"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조직 슬림화(직원 50.5% 감소), 시내 환급 창구 감소 등을 통한 비용 효율화로 글로벌텍스프리의 BEP 달성 매출액도 월 20억 원 수준으로 2019년 대비 28% 낮아졌다"라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투자 포인트는 △외국인 관광객 1인당 소비액 증가에 따른 매출 기어링(gearing) 효과 △조직 슬림화에 따른 비용 효율화로 2019년을 넘어서는 수익성 기대 △비중국인 여행객의 매출 기여 증가 △프랑스와 싱가포르 사업부의 선전 등이다"라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722,000
    • +0.91%
    • 이더리움
    • 2,370,000
    • +4.31%
    • 비트코인 캐시
    • 506,000
    • +11.77%
    • 리플
    • 3,091
    • +4.07%
    • 솔라나
    • 189,000
    • +8.06%
    • 에이다
    • 947
    • +3.84%
    • 이오스
    • 995
    • +10.43%
    • 트론
    • 357
    • +1.42%
    • 스텔라루멘
    • 351
    • +2.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200
    • +3.5%
    • 체인링크
    • 18,910
    • +2.6%
    • 샌드박스
    • 390
    • +2.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