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에 '슈퍼리치' 총자산 6억 감소…투자 1순위 "부동산"

입력 2023-04-09 08: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평균 보유주택 1.7채…부동산 상승전환 시점은 "2025년 이후"

지난해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슈퍼리치(부자)' 1인당 총자산이 약 6억 원가량 감소했다. 그러나 부자들은 향후에도 투자 의향 1순위로 부동산을 꼽았다. 3명 중 1명 이상이 부동산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되는 시점을 2025년 이후로 예측했다.

9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3 대한민국 웰스(Wealth) 리포트'는 10억 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사람들을 부자로 정의하고, 이들의 투자 전략과 부동산 투자 방식 등을 분석했다.

부자 총자산 평균 72억 원…부동산이 약 40억 원 가장 비중 커

지난해 말 기준 부자의 총자산 평균은 약 72억 원으로 1년 전(78억 원) 대비 6억 원 감소했다. 이는 부동산 가격 하락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부자 1인의 평균 부동산 자산 보유액은 2021년 말 45억 원에서 지난해 말 39억7000만 원으로 줄었다. 반면 금융자산 규모는 31억 원으로 차이가 없었다.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이 55%, 금융자산이 43%, 기타 2% 등이었다.

부자의 66%는 지난해 금융자산 운용으로 수익을 냈지만 32%는 손실을 입었다. 2021년 91%가 이익을 내고 8%만 손실을 본 것과 대비된다.

금융자산 1억 원 이상에서 10억 원 미만 보유자인 대중부유층 역시 금융자산 운용으로 손실을 본 비중이 2021년 15%에서 지난해 39%로 높아졌다.

지난해 부자의 수익률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준 금융자산은 주식(50%), 펀드·신탁(25%), 가상화폐(7%) 등의 순이었다.

반면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준 금융자산은 예금(46%), 보험·연금(15%) 등 저위험 안전자산으로 확인됐다.

부자 중 79%는 올해 실물 경기가 좋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경기 또한 부정적으로 보는 의견이 84%에 이른다.

올해 부동산 매매가격 하락 폭에 대해 현 수준 대비 10∼30%와 5∼10%로 예측한 이들이 각각 41%였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하는 시점과 관련해 부자의 37%는 '2025년 이후'로, 26%는 '2024년 하반기', 24%는 '2024년 상반기'로 각각 전망했다.

다만 주식 시장은 부동산 시장보다 이른 올해 하반기에 상승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예측한 이가 전체의 47%였다.

부동산 침체 예상, 그래도 투자 1순위는 부동산

부자의 64%는 올해 금융자산으로 5∼10%의 수익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10% 이상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비중은 20%로, 전년 대비 10%포인트(p) 낮아졌다.

부동산 경기 침체 예상에도 불구하고 부자들은 향후 투자 의향이 높은 자산 1순위로 부동산(32%)을 꼽았다. 이어 예금(22%), 주식(14%), 펀드·신탁(10%), 채권(10%) 등의 순이었다.

부자 3명 중 1명은 올해 부동산 매입 계획이 있으며, 매입 부동산 유형은 중소형 아파트(40평형 미만)가 44%로 가장 많았다. 대형 아파트와 상가는 각각 20%와 18%로 나타났다.

부자가 보유한 평균 주택 수는 1.7채로, 부동산 자산은 평균 39억7000만 원이었다.

올해 부동산 경기 악화 전망에도 불구하고 부자들은 부동산 자산 매도에는 신중을 입장을 보여 80%는 "올해 부동산을 매도할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부자의 연령대별 부동산 매수 횟수를 보면 40대 이하는 3.4회, 50대는 5회, 60대는 5.8회로 각각 집계됐고, 70대 이상은 9.7회에 달했다.

부자 중 29%는 그동안 거래 경험이 있었던 부동산 중 본인의 자산 확대에 가장 크게 기여했던 부동산 유형으로 중소형 아파트(40평형 미만)를 꼽았다. 대형 아파트(40평형 이상) 25%, 토지 11%, 빌딩(50억 원 초과) 10%, 상가 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재 “경고성·호소형 계엄은 없다”…尹측 계엄 당위성 주장 콕 집어 배척
  • 尹파면 첫 주말…도심 곳곳에서 찬반집회
  • 좋아하는 야구팀, 우승 예상팀 모두 '기아 타이거즈' [데이터클립]
  • 돈벼락의 저주…외신이 바라본 복권 당첨 후 불행
  • 알리익스프레스 바짝 쫓는 테무…한국 시장 공략 속도전
  • 벚꽃 축제 본격 시작…부여서는 백제 유적 야간 개장 [주말N축제]
  • '로비'로 유쾌하게 돌아온 하정우…감독 하정우 표 블랙코미디는? [시네마천국]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29,000
    • +1.53%
    • 이더리움
    • 2,672,000
    • +1.67%
    • 비트코인 캐시
    • 443,500
    • +0.02%
    • 리플
    • 3,125
    • +3.61%
    • 솔라나
    • 178,400
    • +5.38%
    • 에이다
    • 974
    • +2.1%
    • 이오스
    • 1,178
    • -3.36%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82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40
    • +0.96%
    • 체인링크
    • 19,000
    • +1.6%
    • 샌드박스
    • 388
    • +1.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