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발언대] 서사원, 공공돌봄 기능 찾아야 살 수 있다

입력 2023-04-12 0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황정일 서울시사회서비스원 대표

▲황정일 서울시사회서비스원 대표
▲황정일 서울시사회서비스원 대표
급히 먹는 떡은 체하는 법. 결국 체하고 탈이 났다. 서울시사회서비스원(서사원) 이야기다.

서사원은 2019년 ‘시범’이라는 명목으로 문을 열었다. 경기, 경남, 대구가 함께 했다. 당시 많은 문제가 제기됐다.

“민간 공급체계를 그대로 유지한 채 공공성을 확보하고 일자리 질을 제고하겠다는 것은 비현실적이어서 목표 달성이 어렵다”거나 “사회서비스원의 모범적 운영모델 확산만으로는 공공성 실현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 특수성 때문에 모든 인력을 정규직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사회서비스원 종사자의 임금체계는 서비스 유형별 특성과 직무의 전문성, 난이도에 따라 차별 구성되어야 한다”, “사회서비스원 종사자의 처우 개선뿐만 아니라 책임성과 전문성도 함께 확보되어야 한다” 등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정규직·일률적 월급제로 출범

우려의 목소리를 귓등으로 하고 서사원은 돌봄 근로자의 정규직제와 일률적인 월급제를 도입해 출범했다. 전국에서 유일했다. 규모도 2022년까지 소속기관 47개소 운영, 인력 4016명 고용이라는 원대한 계획을 내놓았지만 2023년 3월 말 현재 21개소, 476명이다.

건너들은 이야기로는 섣부른 정치 논리가 전문가의 100가지 제언을 아울렀다 한다. 법은 2022년 시행됐다. 시범사업 후 3년이 지나서다. 법이 앞서고 조례가 뒤따라 법규를 마련한 위에 조직을 세우는 게 합리적인데 거꾸로다. 상식이 온데간데없는 요즘, 크게 놀랄 일은 아니다. 아무튼 제시된 문제들의 해결 없이 사업은 급히 추진됐다.

시범사업은 어떤 일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그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시험 삼아 실시하는 사업이다. 4년의 시간이 지났다. 계속해야 할지 말지를 판단해야 할 시기다. ‘지금 이대로는 아니다’가 서사원 예산 100억원 삭감을 낳았다.

사회 변화에 따라 돌봄의 영역은 확대되고 그 가치는 무거워졌다. 서사원의 목적은 그래서 의미가 깊은데 정치 논리에 의한 졸속 행정으로 그 틀을 제대로 엮어내지 못했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시작했으나 그의 죽음 이후 급격히 계획이 철회되고 예산이 삭감된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장애인활동지원사와 요양보호사의 돌봄서비스 제공이 중심이 된 서사원은 크게 두 가지 목적을 추구한다. 하나는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강화이고 다른 하나는 종사자의 근로조건 개선이다. 후자의 실천은 의지만 있다면 어렵지 않다. 깊은 생각 없이 퍼주면 된다. 지금이 그런 상태다.

공공성 강화는 쉽지 않다.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 심사(深思)에 숙고(熟考)를 더해야 한다. 그것이 끝이 아니다. 힘들고 어려운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 종사자의 사명감과 책임감이 필요한 대목이다. 그러지 못했고 지금도 그러지 못한 상태다.

인건비가 과도하다. 수익이 형편없다. 운영과 구조가 비효율적이다. 매년 적자다. 사기업이라면 이때쯤 망해야 정상이다. 사서원을 향한 비난의 강도가 에스컬레이트되었고 그 결과로 예산 100억원 삭감 사태가 벌어졌다.

향상된 근로조건 걸맞은 공공성을

4년간의 시범사업에 대해 매듭을 지어야 할 때다. 이래도 저래도 저항과 풍파가 예상된다. 다른 이유가 앞설 수 없다. 서사원은 세금으로 운영된다는 점, 무엇보다 고려되어야 할 사실이다. 시민의 혈세인 세금은, 한정된 소수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다수 공동의 행복을 위해 써야 한다는 의미이다.

향상된 근로조건에 걸맞은 공공성을 발휘해야 한다. 사각지대에서 실종된 공공돌봄 기능을 찾아 실천해야 한다. 그것이 서울 시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서사원이 지속가능한 기관으로 남을 수 있는 올바르고 유일한 길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해외IB,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0.5%까지 '뚝'…내년도 '흔들'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댓글

0 / 300
  • 김정남
    황정일 월급자체가 공공 스럽지 않다. 너부터 저임금 고강도로해라. 전뮤성도 없는게 터진입이라고
    2023-04-12 11:32
  • 공공돌봄
    요양보호사들의 업무를 이해하시나요? 황대표가 서울시 사회서비스원에 와서 한일이 뭐가 있을까요? 전 시장 탓하며, 한기관을 무너뜨리려는 일만 했다고 생각합니다. 약 500명의 직원들의 생계를 가지고, 서울시와 서울시의원들(국힘)과 딜을 하고 있는 것으로만 보여집니다. 정규직, 서울시 생활임금이 돌봄 노동자들이 가지면 안되는 조건인가요? 전 시장을 탓하면서도 더 나은 공공돌봄에 대한 청사진도 없는 서울시를 규탄합니다.
    2023-04-12 10:26
  • 정성맘
    서사원의 대표라는 분이 오로지 서사원을 해체하겠다는 나쁜 의도를 가지고, 코로나가 한창일때 코로나 긴급돌봄을 위해 헌신하고, 지금도 현장에서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좋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종사자들을 폄훼하고 값싼 노동으로 치부하고, 민간에서 계약직, 저임금, 열악한 노동환경에 처해 고통받는 돌봄 노동자들의 현실이 정상적인 것처럼 그래서 공공에서 좋은 돌봄, 좋은 일자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공공돌봄의 실현이라는 사회서비스원의 가치와 방향성이 소수만을 위한 집단이기주의인 것처럼 호도하는 것에 분노를 느낍니다.
    2023-04-12 10:15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992,000
    • -0.48%
    • 이더리움
    • 2,616,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513,500
    • -6.04%
    • 리플
    • 3,163
    • +0.16%
    • 솔라나
    • 214,500
    • -1.61%
    • 에이다
    • 1,020
    • -0.97%
    • 이오스
    • 972
    • -1.22%
    • 트론
    • 365
    • +4.58%
    • 스텔라루멘
    • 420
    • +2.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050
    • -16.54%
    • 체인링크
    • 21,440
    • -0.83%
    • 샌드박스
    • 446
    • +0.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