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침수 재난 막는다…'AI·디지털 트윈' 활용 예보 체계 구축

입력 2023-04-12 1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환경부, 과기부·지자체와 첨단 디지털 기술 활용 도시 침수 공동 대응 MOU

정부가 홍수로 도시하천의 범람하거나 도시지역 내 강우가 원활히 배수되지 않아 발생하는 침수 현상인 도시 침수 재난을 막기 위해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도시 침수 예보체계를 만든다.

환경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광주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와 가상모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도시 침수 예보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가상모형(디지털 트윈)은 가상 세계(Digital)에 실제 사물의 물리적 특징을 동일하게 반영한 쌍둥이(Twin)를 3D 모델로 구현하고, 실제 사물과 실시간으로 동기화한 시뮬레이션을 거쳐 관제·분석·예측 등 해당 사물에 대한 현실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번 협약은 '디지털 트윈 기반 도시 침수 스마트 대응 시스템' 실증사업의 성공적 추진과 국민 전 및 대응력 강화를 위한 △소통·협력체계 구축 △기존 시스템 및 데이터 연계 및 공유 △연구개발 및 제도개선 등을 담았다.

협약에 따라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로 인해 침수 피해가 발생한 포항시를 비롯해 광주시, 경남 창원시 침수 취약지역에 6시간 전에 나오는 기상청의 강수 예보를 활용, 침수위험 정보 등을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 도시 침수 스마트 대응 시스템'을 실증한다.

이 시업에는 2024년까지 160억 원이 투입되며 △도시 침수 분석·예측을 위한 데이터 수집 체계 구축 △실시간 침수 모니터링 및 스마트 원격 제어 시스템 구축 △내·외수 연계 도시 침수 예측 가상모형 기반 시뮬레이션 구축 △도시 침수 통합관제 시스템 및 대응 매뉴얼 구축 등이 주요 내용이다.

실증사업을 통해 대상 지역의 고정밀 공간정보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 시스템에 사물인터넷 감지기(IoT 센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등 현장 계측정보를 연계해 침수가 발생하거나 우려될 때 지역 주민에게 신속하게 홍수 위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환경부는 지난해 하천 범람으로 큰 피해가 발생한 경북 포항시 냉천에 강우량, 수위,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다목적 관측소를 지난달 설치해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여름 자연 재난 대책 기간 천변 주차장 등 주요 지점의 하천 수위 정보를 우선 제공할 예정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하천, 하수도 등 침수 방지시설의 능력을 초과하는 극한 강우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시설 정비만으로는 국민의 안전을 담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384,000
    • +2.18%
    • 이더리움
    • 2,726,000
    • +4.4%
    • 비트코인 캐시
    • 584,000
    • +9.88%
    • 리플
    • 3,109
    • +2.34%
    • 솔라나
    • 215,700
    • +3.06%
    • 에이다
    • 1,010
    • +4.02%
    • 이오스
    • 1,192
    • +16.86%
    • 트론
    • 354
    • +1.43%
    • 스텔라루멘
    • 385
    • +3.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00
    • +5.3%
    • 체인링크
    • 20,820
    • +5.15%
    • 샌드박스
    • 410
    • +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