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가슴에 손을 얹자, 우리가 ‘에코프로’를 가치주로 접근했는지

입력 2023-04-13 08: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에코프로는 내가 자본시장을 취재하며 두 번째로 본 급등주다. 첫 번째는 신풍제약이었다. 급등주라는 이유만으로 에코프로를 신풍제약과 비교할 생각은 전혀 없다. 신풍제약은 코로나 시절 2200%가 넘게 오른 이른바 테마주였고, 에코프로는 전기차 산업 성장세와 맞물려 실체와 가치가 있는 ‘괜찮은’ 기업이기 때문이다. 다만, 우리가 에코프로를 가치주로 접근했는지 생각해볼 필요는 있다.

사실 이 시점에서 에코프로를 언급하는 것조차 두려울 정도로 개인투자자들의 주가 상승에 대한 믿음은 어느 때보다 강하다. 그런 점에서 12일에 나온 하나증권의 매도 리포트는 눈엣가시 같았을 것이다. 게다가 이날 16% 넘게 떨어졌으니 말이다. 일부 주식 커뮤니티에선 애널리스트 신변 위협까지 나왔다고 한다.

이 같은 매도 리포트 불똥은 기자들에게도 튀었다. 리포트를 언급한 기사 댓글을 보면 대부분 욕뿐이기 때문이다. “매도 리포트 쓴 애널리스트 검찰 수사해야 한다”, “이 리포트를 받아쓴 기자도 공매 세력과 한통속이다” 등 잘 나가고 있는 에코프로의 길을 막고 있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보자마자 2년 전 신풍제약 급등 관련 기사 댓글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당시에도 “일부러 신풍 깎아내리네”, “기자는 기업에 대해 공부를 더 하고 써라” 등의 비판이 나왔다.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 20만 원을 넘어서던 주가는 2만 원 이하로 떨어졌다. 주주들은 2년 넘게 ‘가즈아’만 외치고 있다.

개인투자자들은 올해 1월 2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에코프로 주식을 1조3000억 원 가까이 순매수했다. 특히 3월엔 9700억 원이 넘는 물량을 사들였다. 결국 개인이 외국인과 기관 물량을 떠안기 시작했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폭탄을 끌어안은 셈이다.

에코프로 주가가 당장 떨어질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 아니다. 직장동료가 사서, 누군가 추천해줘서가 아닌 ‘가치주에 투자한다’는 초심을 지키고 있는지 이제 스스로 돌아볼 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주·국힘, 추경 13.8조 합의…정부안보다 1.6조 증액
  • "자녀가 겨우 도와줘" 유심 해킹 혼란 속 드러난 '디지털 격차'
  • 끝내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10명 중 7명 유급되나
  • 검찰, 尹 전 대통령 ‘직권남용’ 불구속기소
  • [종합]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유죄 취지 파기환송
  • 되살아난 '사법리스크'…李, 변수 안고 '완주' 전망
  • 한덕수, 사실상 대선 출마... "중책 내려놓고 더 큰 책임질 것"
  • 수출 3개월 연속 '플러스'...트럼프發 관세 정책에 대미 수출은 6.8%↓[종합]

댓글

0 / 300
  • 하와이우키키
    신풍과 다르다먼서 계속 신풍하고 엮네ㅋㅋㅋㅋ
    2023-04-14 20:55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821,000
    • +0.49%
    • 이더리움
    • 2,608,000
    • +1.01%
    • 비트코인 캐시
    • 527,000
    • +0.76%
    • 리플
    • 3,171
    • -0.47%
    • 솔라나
    • 215,800
    • +2.52%
    • 에이다
    • 997
    • -0.2%
    • 이오스
    • 968
    • -1.63%
    • 트론
    • 358
    • +1.99%
    • 스텔라루멘
    • 391
    • -1.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100
    • +1.57%
    • 체인링크
    • 21,210
    • +1.63%
    • 샌드박스
    • 429
    • +2.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