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4일 "디지털플랫폼정부를 통해 국민이 원하는 정보를 맞춤형으로, 선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를 주재하고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각 부처와 기관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해 국민들께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윤석열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로,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디지털 플랫폼' 위에서 국민, 기업, 정부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정부를 뜻한다.
윤 대통령은 "플랫폼을 활용하면 할수록 더 많이 학습하고 진화함으로써 국민이 어떤 것을 원하는지 더 잘 알 수 있고, AI를 기반으로 더 스마트해질 수 있다"며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지난 30년간 추진해 온 전자정부와는 차원이 다른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구현해 나가는 과정에서 AI와 소프트웨어, 디지털 분야의 인재를 키울 수 있고, 각 분야의 산업이 커나가면서 엄청난 고용창출 효과가 나올 것"이라며 "추진 과정에서 산업의 엄청난 전후방 효과를 일으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고 우리 산업의 지형과 우리 사회가 변화하는 것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러한 디지털플랫폼정부에 선제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하고, 우리가 선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면 디지털플랫폼정부 자체가 수출의 효자 산업이 될 수 있다"며 "디지털플랫폼정부는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 세계 국가의 미래 정부 모델이자 국가전략산업"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디지털플랫폼정부가 지향하는 것은 데이터와 정보가 하나의 플랫폼에 모여 공유되는 것"이라며 "각 부처별로 필요한 정보가 공유되고 융합될 때 엄청난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각종 민원, 인허가 서비스 절차의 간소화 등 행정 서비스의 효율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정부가 일하는 데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 대통령은 "국민들이 원하는 것을 정부가 선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정부가 어떤 업무에 매진해야 하는지 데이터와 과학에 기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것"이라며 "이는 우리 사회 갈등 완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공장 간편 인허가 서비스' , '관공서 첨부서류 제로화', '알아서 맞춤형으로 배달하는 ‘혜택 알리미' 등 디지털플랫폼정부의 구체적인 핵심 사례가 소개됐다. 공장 간편 인허가 서비스는 지역별 입지규제정보 등이 한 곳에 집적된 서비스를 구현해 인허가 가능 여부를 사전 진단하고, 공장 설립을 위한 절차도 한 곳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아울러 국민들이 정부가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혜택 서비스를 모르거나 신청 절차가 복잡해서 놓치지 않도록 당사자 동의를 받아 개인의 데이터를 분석해 혜택을 맞춤형으로, 선제적으로 알리는 '혜택 알리미' 서비스도 소개됐다. 정부는 국민 체감효과가 큰 구직, 청년 관련 공공서비스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1021종의 맞춤형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미래 변화상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는 △디지털플랫폼정부 핵심 과제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 △데이터 혁신을 위한 국민 신뢰 확보 방안 등이 발표됐다. 초거대 AI는 챗GPT와 같이 대용량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 인간처럼 종합적 추론이 가능한 차세대 인공지능을 의미한다.
이날 보고회에는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및 민간위원 16명을 비롯해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장,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 한창섭 행정안전부 차관, 한훈 통계청장, 이우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등 전문가와 여당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등 국회 인사, 언론계 인사, 일반 국민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