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패권 견제 의도

24일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해 상품 무역에서 국경 간 위안화 결제액이 37%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 해외 무역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전년보다 2.2%포인트(p) 상승한 19%를 기록했다.
인민은행은 “위안화 결제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해외 무역의 위안화 결제 편리성 수준을 높였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미국 달러 패권을 견제하고자 위안화 국제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관련 뉴스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는 최근 프랑스 에너지 대기업 토탈에너지와의 첫 액화천연가스(LNG) 위안화 거래를 마무리했다. 인민은행은 2월 브라질중앙은행과 현지에 위안화 청산센터를 세우기로 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이달 양국 간 첫 위안화 거래도 이뤄졌다.
알렉산드르 노박 러시아 부총리 겸 에너지장관은 22일 “러시아는 에너지 수출대금으로 루블화와 중국 위안화를 더 많이 받을 것”이라며 “두 통화에 대한 수요가 높아서 그 추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러시아의 지난해 수입대금 결제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의 4%에서 23%로 껑충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