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평가 유출 3년간 290여만건 더 있었다…경기도교육청 대책 발표

입력 2023-05-04 11: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교육부 조사 결과, 2019년·2021년·2022년 4월·11월 학력평가 유출 파악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4일 오전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중회의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자료 유출 방지책을 발표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4일 오전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중회의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자료 유출 방지책을 발표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2019년부터 3년간 실시된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자료가 추가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까지 추산되는 유출 규모만 290여만건에 달한다. 경기도교육청은 재발방지에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4일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성적유출 사태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책을 발표했다.

임 교육감은 “교육부의 조사 결과 2019년, 2021년, 2022년에 실시한 4·11월 학력평가 응시 학생의 성적자료가 추가 유출된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렇게 유출된 자료는 약 290만건으로 추정됐다. 다만 온라인으로 유포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임 교육감은 “학생을 보호할 책임이 있는 교육청에서 오히려 큰 상처를 드린 점에 대해 교육감으로서 무거운 책임을 느끼며 진심으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며 “관련 경위를 철저히 조사해 문제가 드러난 부분은 과감히 도려내고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외부 전문기관에 용역을 맡겨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전반을 점검하고 발견되는 문제점에 대해 근본적인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또 올해 4월, 11월 실시 예정이던 경기도교육청 주관 전국연합학력평가는 각각 5월, 12월로 순연하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성적처리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월19일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지난해 11월 치러진 학력평가에 응시한 전국 고2 학생 27만여명의 성적과 소속 학교, 이름, 성별 등이 담긴 자료가 유포됐다. 사건을 맡은 경기남부경찰청 중간수사 결과 해당 자료 유출은 해킹에 의한 소행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텔레그램방을 통해 최초 유포한 혐의(정보통신망법 위반)로 20대 남성 A씨를 구속하고, 해당 채널 운영자인 B씨 등 5명을 검거해 수사 중이다. 해킹범은 현재 경찰이 추적하고 있다.

한편, 학력평가는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중 한 곳이 주관해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합동 실시하는 모의 수능시험으로, '교육청 모의고사'로 불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005,000
    • -0.55%
    • 이더리움
    • 2,625,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510,000
    • -3.23%
    • 리플
    • 3,125
    • -0.38%
    • 솔라나
    • 210,900
    • +0.52%
    • 에이다
    • 980
    • -3.45%
    • 이오스
    • 992
    • -6.24%
    • 트론
    • 357
    • +0.85%
    • 스텔라루멘
    • 384
    • -1.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250
    • -0.67%
    • 체인링크
    • 20,150
    • -1.52%
    • 샌드박스
    • 395
    • -2.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