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깔짝브리핑] 임창정이 30억 원 날렸다는 이 사태, 원인이 CFD?

입력 2023-05-10 18: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G증권 발 주가 폭락 사건이 일어난 건 지난 4월 24일인데요. 2-3년 정도 꾸준히 올랐던 대성홀딩스, 삼천리, 서울가스 등 총 8개 종목이 잇따라 가격 제한폭까지 떨어졌습니다. 나흘간 하한가 행진을 계속했는데 이 기간에 증발한 돈만 8조 원에 달합니다.

매도 물량이 쏟아진 창구가 프랑스 금융그룹인 소시에테제네랄이라는 곳인데 그 이름을 붙여서 SG 증권 사태라고 하는데요. 일반적인 상황이었더라면 차익 실현이라고 볼 수 있었지만, 종목 간에 두 가지 이상한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거래량이 적었다는 것, 두 번째는 CFD 계좌에서 반대 매매가 나왔다는 것인데요. 흔치 않은 정황들 때문에 주가 조작을 의심하게 된 겁니다.

그러면 주가 조작을 일으킨 세력들이 거래량이 적은 종목을 택하는 이유가 뭘까요? 거래량이 적으면 시세 조정이 비교적 쉽기 때문입니다.

이번 조작 세력들은 '통정매매'라는 걸 통해서 주가를 끌어올렸는데요. 세력과 세력끼리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가격으로 주식을 사고파는 겁니다. 주식이 왔다 갔다 하는 과정에서 주가는 오르고 거래량이 늘겠죠. 이를 본 개미들은 당연히 모일 수밖에 없는 겁니다.

작전 세력의 핵심 인물로 검찰에 체포된 라덕연은 문제가 된 투자자문사를 운영한 대표입니다. 그가 운영하는 이 회사에서 굴린 돈만 1조 원에 달하는데요.

가수 임창정은 여기에 투자한 인물로 꼽힙니다. 그가 아내 서하얀과 함께 조조 클럽에 참석하고 라덕연을 "신이라 생각하고 맡겼다"고 말한 모습들이 공개되면서 '진짜 작전인 걸 몰랐나'라는 의심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CFD(차액 결제 거래)란, 주식이 오른 만큼 그 차익을 얻을 수 있는 파생상품인데요.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그 주식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는 겁니다. 주식을 빌려서 파는 공매도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투자 성과가 극대화하는 레버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론상으로는 최대 2.5배의 수익을 벌 수 있습니다.

신용 매매와 비슷해 보이긴 하지만 CFD는 증권사를 통해 주문을 넣는 방식이라 익명성이 보장됩니다. 이번 하한가를 맞은 8개 종목도 모두 외국인이 매수한 것으로 분류됐죠. 이 때문에 금융당국의 눈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일단 이번 사태가 터지고 나서 증권사들은 CFD 신규 서비스를 중단하고 금융감독원도 CFD 자격 요건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하는데요.

오늘의 깔짝브리핑, SG사태 편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91,000
    • +1.27%
    • 이더리움
    • 2,659,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440,700
    • +0.27%
    • 리플
    • 3,124
    • +2.23%
    • 솔라나
    • 179,600
    • +4.6%
    • 에이다
    • 972
    • +1.99%
    • 이오스
    • 1,168
    • -4.34%
    • 트론
    • 355
    • +1.43%
    • 스텔라루멘
    • 382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280
    • +1.59%
    • 체인링크
    • 19,030
    • +0.95%
    • 샌드박스
    • 387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