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플라, ‘구글 웹3 게이밍 위크’ 참여…블록체인 게임 성과와 비전 공유

입력 2023-06-14 09: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엑스플라, 구글 아시아퍼시픽 개최 ‘웹3 게이밍 위크’ 참여
폴 킴 엑스플라 리더, ‘웹3 게임, P2O로의 전환’ 주제 강연
전세계 개발자들과 엑스플라 웹3 게임 현황과 비전 공유

▲구글 아시아퍼시픽 싱가폴 본사에서 진행된 '웹3 게이밍 위크'에서 폴킴 엑스플라 리더가 세션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엑스플라)
▲구글 아시아퍼시픽 싱가폴 본사에서 진행된 '웹3 게이밍 위크'에서 폴킴 엑스플라 리더가 세션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엑스플라)

국내 블록체인 메인넷 엑스플라가 12일부터 17일까지 싱가폴 ‘구글 아시아퍼시픽 본사’에서 개최되는 ‘웹3 게이밍 위크’에 참여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폴 킴 엑스플라 리더는 ‘웹3 게임, P2O로의 전환’이라는 주제로 엑스플라가 이뤄온 성과를 발표했다. 그간 웹3 게임을 서비스하며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게임 내 자산을 소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P2O(Play to Own) 형태의 토크노믹스를 신작 게임에 적용한 사례를 공유하는 한편, 올해 엑스플라 메인넷에 온보딩될 ‘미니게임천국’, ‘서머너즈워: 크로니클’, ‘낚시의 신’ 등도 소개했다. 해당 세션 외에도 엑스플라는 15일까지 온보딩 예정 게임들의 데모 버전 시연 행사도 진행한다.

폴 킴 리더는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개발자들과 엑스플라의 비전을 공유하고 함께 웹3로의 전환을 모색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엑스플라는 지역과 세대에 국한되지 않는 웹3 생태계”라면서 전 세계 모든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의 참여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게임과 웹3 산업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 세계 기업이 초청됐다. ‘앱토스’, ‘애니모카 브랜즈’ 등 대표적인 웹3 기업을 포함해 엑스플라, 솔라나 재단, YGG 등 웹3 기업의 주요 인사 30여 명이 연사로 참여한다.

한편 엑스플라는 올해 컴투스가 글로벌에 출시한 소환형 RPG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을 비롯해 ‘낚시의 신: 크루’, ‘미니게임천국’ 등 다양한 게임을 엑스플라 생태계에 온보딩하는 등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확장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057,000
    • +1.23%
    • 이더리움
    • 2,570,000
    • +2.11%
    • 비트코인 캐시
    • 522,500
    • +1.06%
    • 리플
    • 3,166
    • +2.29%
    • 솔라나
    • 222,200
    • +4.91%
    • 에이다
    • 1,032
    • +4.03%
    • 이오스
    • 975
    • +5.41%
    • 트론
    • 350
    • -0.28%
    • 스텔라루멘
    • 408
    • +7.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450
    • +19.21%
    • 체인링크
    • 21,810
    • +5.01%
    • 샌드박스
    • 442
    • +6.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