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기후변화에도 여객기 수요 견실…8조 달러 시장 펼쳐진다”

입력 2023-06-18 16: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향후 20년간 4만2595대 여객기 추가”

▲보잉의 항공기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노스찰스턴에서 보인다. 노스찰스턴(미국)/로이터연합뉴스
▲보잉의 항공기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노스찰스턴에서 보인다. 노스찰스턴(미국)/로이터연합뉴스
미국 항공기 제조사 보잉이 글로벌 여객기 시장 전망을 낙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보잉은 기후변화 우려가 소비자 여행 방식에 영향을 미치더라도 전 세계 항공사들이 향후 20년 동안 4만2595대의 여객기를 추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금액상으로 약 8조 달러(약 1경240조 원)에 달한다.

대런 허스트 보잉 마케팅 책임자는 이에 대해 “이번 집계는 최근 여객기 (탄소) 배출에 대한 적극적인 움직임을 고려한 것”이라며 “각국 정부가 최근 소비자에게 기차와 같은 더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을 이용할 것을 촉구함에 따라 500마일(800여㎞) 미만의 상업용 항공편의 감소가 예상된다” 설명했다.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서구권에서는 ‘플라이트 쉐임(flight shame·부끄러운 비행)’ 운동이 크게 벌어지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아예 기차로 2시간 30분 안에 이동할 수 있는 국내 단거리 구간에서 법으로 항공편 운항을 금지해버렸다.

이러한 움직임은 다른 교통수단보다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비행기를 사용하는 것을 줄이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비행기는 같은 노선의 기차보다 승객 1인당 평균 77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잉은 더 많은 비행과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항공산업의 노력도 여객기 판매를 억제할 것으로 예상했다. 항공사들이 대형 비행기로 이동하고, 더 조밀한 좌석 패턴을 추가하며, 매일 더 많은 시간 비행기를 띄움으로써 생산성을 20%가량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하지만 그런데도 보잉은 2042년까지 전 세계 항공기가 거의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봤다. 연간 추가되는 항공기 속도는 약 3.5%로 연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인 2.6%보다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허스트 책임자는 “20년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이 크게 늘어나 5억 명이 새롭게 중산층으로 진입했다. 이들이 잠재적 항공 여객이 될 것”이라며 “항공 화물 수송량 또한 전체 세계 무역 증가율을 앞질러 화물기 수요도 여전히 강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70,000
    • +0.2%
    • 이더리움
    • 2,302,000
    • -0.09%
    • 비트코인 캐시
    • 482,100
    • -0.06%
    • 리플
    • 3,010
    • -0.99%
    • 솔라나
    • 194,400
    • +1.09%
    • 에이다
    • 891
    • -0.45%
    • 이오스
    • 908
    • +1.79%
    • 트론
    • 354
    • -1.12%
    • 스텔라루멘
    • 354
    • +2.9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000
    • +1.13%
    • 체인링크
    • 18,290
    • +1.44%
    • 샌드박스
    • 379
    • +5.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