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조달러 순환경제 우리 몫 챙기자”…산업부 순환경제 신성장 전략

입력 2023-06-21 10: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철강·석화·배터리 등 9대 순환경제 선도프로젝트 추진
순환경제 자원 적게·지속·재생 핵심

▲전자제품 순환경제 (자료제공=환경부)
▲전자제품 순환경제 (자료제공=환경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정부가 순환경제에 속도를 낸다. 철강, 석유화학, 배터리 등 주요 산업별로 ‘9대 순환경제 선도프로젝트(CE 9 프로젝트)'를 선정·추진하며 4조 5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세계 순환경제 시장에서 우위도 점하겠단 구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런내용의 ‘순환경제 활성화를 통한 산업 신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순환경제는 자원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경제체제를 말한다. △제품 생산 시엔 자원을 적게 사용하고 △사용한 자원은 오래 사용하며 △사용 후에는 자원을 재생하는 것이 핵심이다.

산업부는 ‘CE(Circular Economy·순환경제) 9 프로젝트’라고 이름을 붙이고 이번 신성장 전략에 석유화학, 철강, 비철금속, 배터리, 전기전자, 섬유, 자동차, 기계, 시멘트 등 9개 업종을 포함했다.

우선 석유화학 업종에서는 플라스틱 폐자원 확보를 위한 인프라를 확대하는 등 열분해유 생산을 늘리고, 폐플라스틱 해중합·플라스마 열분해 등 기술 개발을 통해 고급 원료화를 추진한다.

철강·비철금속 업종에서는 철스크랩(고철)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희소금속 28종의 전 과정 수급을 파악해 희소금속을 재자원화하기로 했다.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분야에서도 재사용·재활용 기반을 견고히 한다. 재사용 배터리 안전성 검사 제도와 전기차 배터리 전 주기의 이력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사용 후 배터리에서 리튬·니켈 등의 회수·활용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전기·전자, 섬유, 자동차, 기계, 시멘트 등 업종에서도 순환경제의 새 성장동력을 마련할 방침이다.

순환경제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30년 4조 5000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는 CE 9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순환경제를 성장시켜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겠단 복안이다.

이를 위해 관계 부처 참여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국내외 재생원료 공급망 구축을 지원한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이번 전략이 산업 부문의 순환경제 전환을 본격화하는 출발점이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관 모두의 관심과 협력이 필요한 만큼 소통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상추에 배추·무까지…식품업계, 널뛰는 가격에 불확실성 고조 [식탁 지배하는 이상기후]
  • 단독 한달 된 '실손24' 60만 명 가입…앱 청구 고작 0.3% 불과
  • 도쿄돔 대참사…대만, 일본 꺾고 '프리미어12' 우승
  • "결혼 두고 이견" 정우성ㆍ문가비 보도, 묘한 입장차
  • ‘특허증서’ 빼곡한 글로벌 1위 BYD 본사…자사 배터리로 ‘가격 경쟁력’ 확보
  • [식물 방통위] 정쟁 속 수년째 멈춤…여야 합의제 부처의 한계
  • 이재명 오늘 '위증교사' 선고...'고의성' 여부 따라 사법리스크 최고조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오늘의 상승종목

  • 11.25 09: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139,000
    • -1.2%
    • 이더리움
    • 4,632,000
    • -3.16%
    • 비트코인 캐시
    • 706,000
    • -1.67%
    • 리플
    • 1,943
    • -4.19%
    • 솔라나
    • 347,600
    • -3.34%
    • 에이다
    • 1,390
    • -6.96%
    • 이오스
    • 1,144
    • +5.54%
    • 트론
    • 288
    • -4%
    • 스텔라루멘
    • 737
    • +6.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900
    • -3.56%
    • 체인링크
    • 24,980
    • -2%
    • 샌드박스
    • 1,091
    • +75.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