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ㆍ충남 내포ㆍ경남 하동 등 8곳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지정

입력 2023-06-22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자율주행 심야버스 합정~청량리 첫 운행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신규 지정 현황. (국토교통부)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신규 지정 현황. (국토교통부)
서울 여의도, 충남 내포, 경남 하동 등 8개 지구가 자율차 시범운행지구로 새로 지정된다.

국토교통부는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위원회에서 서울 청와대·여의도·중앙버스전용차로, 충북혁신도시, 충남내포신도시, 경북도청신도시, 경남 하동,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등 8건을 신규 지정하고 서울 청계천, 대구테크노폴리스 등 2건 변경을 심의ㆍ의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시범운행지구는 자율주행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여객 유상운송 △화물 유상운송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특례를 받을 수 있는 지역으로 2020년 5월 처음 도입된 후 5차에 걸쳐 지속해서 확대 중이다.

이번 지정으로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가능지역이 전국 15개 시·도 24개 지구로 대폭 증가한다.

이번에 새로 지정된 8개 지구는 버스·셔틀 등 대중교통 중심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다.

특히 서울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경우 자율주행 심야버스를 전국 최초로 운행(합정~청량리)하고 충남 내포에서는 자율주행 방범 순찰과 불법 주정차 단속이라는 공익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보다 다양한 자율주행 실증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충남·경북·경남 등 3개 지역 내에도 최초로 시범운행지구가 지정돼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자율주행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을 전망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작년 9월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통해 발표한 시범운행지구의 전국 17개 모든 시·도 확산 계획이 애초 목표인 2025년보다 더 속도감 있게 이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자율주행 리빙랩, 모빌리티 혁신도로, 자율주행 기반 대중교통 전환 등 모빌리티 혁신 주요 과제들이 시범운행지구와 연계돼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짜임새 있게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을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 한 달 뒤 공개될 반도체 관세 예의주시…'中 한정 고관세' 시나리오 무게
  • 단독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두고 의총협 “‘3058+α’ 등 3개 안 ‘고심’"
  • ‘미국 민감국가명단’ 결국 한국 포함돼 발효…긴밀 협력 차질 가능성
  • 결혼 안 하거나 망설이는 이유, 남녀 달랐다 [데이터클립]
  • ‘강력한 안정감’ 프리미엄 전기 SUV 왕좌 노리는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ET의 모빌리티]
  • "얼마 전에 끝났는데, 또?"…내 '아이돌'이 월드투어 도는 이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aopk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지정현황에 보면 내포신도시를 충청북도로 되어있는데 바로잡아주세요
    2023-06-22 09:04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120,000
    • +0.99%
    • 이더리움
    • 2,365,000
    • -2.43%
    • 비트코인 캐시
    • 479,600
    • -2.97%
    • 리플
    • 3,126
    • +0.35%
    • 솔라나
    • 191,500
    • -0.62%
    • 에이다
    • 923
    • -1.6%
    • 이오스
    • 882
    • -2%
    • 트론
    • 359
    • -4.01%
    • 스텔라루멘
    • 349
    • -1.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620
    • -1.55%
    • 체인링크
    • 18,260
    • -3.79%
    • 샌드박스
    • 374
    • -2.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