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사태·코인 예치금 먹튀’ 어쩌나…FIU, 전담 인력 기피현상 심각

입력 2023-06-26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FIU에 보고된 이상거래보고(STR) 지난해 1만 797건↑
하루인베스트·델리오 입출금 중단, 고팍스-바이낸스 등
가상자산 시장 현안 쌓여있는데…금융위 FIU 인력 부족

가상자산 시장을 검사·감독하는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본래 FIU가 금융위원회에서 인기 부서가 아니였던 데다가, 무소속 김남국 의원 코인 투기 의혹을 비롯한 각종 현안으로 업무가 쌓이며 금융위 내부에서 기피하는 분위기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최근 하루인베스트·델리오 사태로 국내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다. 델리오 사례의 경우 영업 신고를 받아 준 금융당국의 관리 부실 책임이 지적된다. 가상자산 예치업체는 일정 기간 가상자산를 맡기면 고이율을 붙여주는 사업체를 말한다. 델리오는 FIU에 가상자산사업자(VASP) 신고를 마친 업체다.

25일 본지 취재 결과,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신고 수리, 감독·검사 업무를 맡는 FIU 가상자산검사과에는 6월 현재 사무관 4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래 정원 9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숫자이다. FIU 관계자는 “검사과 사무관은 넷이지만 직원들 포함하면 그 이상은 된다”고 말했다.

▲(금융위 예비심사검토보고서)
▲(금융위 예비심사검토보고서)

FIU는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은행·보험과와 달리 본래 인기 부서가 아니였다. 금융위원회 산하 자금세탁방지기구인 FIU에는 △기획행정실 △제도운영과 △가상자산검사과 △심사분석실 △심사분석 1·2·3과 총 7개의 과가 있다.

특히 가상자산검사과는 가상자산 거래소 신고 수리 및 검사부터 이상거래 탐지, 이용자 보호 등 가상자산 시장에 대해 직접적으로 검사·감독을 진행한다. 해야할 일은 많지만 인원은 부족하고 업무는 과중됐다는 후문이다. 또 가상자산검사과는 최근 가상자산 거래소 고팍스의 임원 변경 신고 수리를 촉구하는 고파이 투자자들의 민원까지 시달렸다.

가상자산검사과를 비롯해 FIU의 정원 미달 현상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지난해 국회 정무위원회에 상정된 금융위 예비심사검토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3월 이후 FIU에 근무하는 현원은 정원 대비 10명 넘게 모자랐다.

문제는 FIU가 다뤄야 하는 각종 현안이 쌓여있다는 점이다. 일단 자금세탁이 우려되는 의심거래보고(STR) 건수가 급증했다. FIU에 보고된 전체 의심거래보고가 늘고 있는 가운데, 가상자산 관련 사업자의 의심거래보고가 크게 늘었다.

정무위 소속 양정숙 의원실에 따르면 STR 보고 건수가 시행 첫해인 2021년 10월에는 2건, 11월 21건, 12월 176건에 불과했던지만, 2022년에는 1만797건으로 폭증했다. STR 보고 건수는 올해 들어서도 매월 천여건을 넘나들며 4월까지 3773건을 기록했다.

FIU는 또 지난해 원화마켓 거래소에 이어 올해 코인마켓 거래소와 가상자산 지갑 사업자 현장 검사에 나서고 있다. 입출금을 중단한 예치 ·운용 서비스인 델리오와 하루인베스트와 고팍스 임원 변경 신고 수리도 살펴보아야 한다. 가뜩이나 가상자산 시장을 제대로 규율할 관련법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금융 당국의 인력 부족이 시장의 혼란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위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FIU뿐 아니라 금융위 인원이 전체적으로 부족하다. 인력을 늘려달라 요구했지만 행정안전부에서 잘 늘려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금융위가 FIU가 가상자산검사과를 신설할 당시, 국장급 1자리를 포함한 22명의 전담 인력 증원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관계자는 “가상자산사업자가 서른 곳이 넘는데, 검사를 다 한 번씩 나간다고 생각하면 사람이 부족한 게 당연하다. 금감원이나 산하기관에서 인력 파견을 받아서 가지만 부족한 건 매한가지”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유심 대란' 유심보호서비스 앱·모바일 대기시간 무려 168시간?
  • 대구 함지산 산불 진화율 82%…잔여화선 2㎞
  • 특허가 사업 판가름…K바이오, 특허 전쟁 격화
  • 부활하는 브라질 국채…신용도·환차손 경고음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댓글

0 / 300
  • 산수화
    델리오는 국가에서 발행한 VASP 인가를 받은 국내 1호 가상자산 뱅크라 소개했고 당국의 상시 관리 받는 기업으로 소개 되었으며 예치된 자산은 시중 은행과 똑같은 관리 감독하에 안전하게 보관 관리 된다 하였습니다 정부의 인허가 VASP의 신뢰로 예치했습니다 정부의 책임과 개입 바랍니다
    2023-06-27 19:10
  • ing
    델리오 가입하기전 모든 문의를 하고 자산을 이전 시켰 습니다 금융위 관리감독 받고 자산 안전하게 보관해 준다는 신한금융mou기사도 자산도 언제든 렛져월렛에 안전하게 보관 된다는 정부 금융위를 내세워서 안전하다 강조하는데 심지어 고려대학교 한국경제랑 같이 아카데미 협업도 하고 내자산 안전하게 맡기고 싶은게 죄인가요
    2023-06-27 03:19
  • jshhx
    [델리오]홈페이지에 들어가 30분, 아니 10분만 확인해 보면 업체의 사업이 어떤 부분인지 일반인도 알 수 있습니다. 맡기면 이자 준다 입니다. 한국의 엘리트들이 모인, 금융정보분석원에서 모를리 없는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스스로 업무 태만을 인정하고 제대로 관리를 못했다고 말하는 격 이라고 여겨집니다. FIU에서 정식으로 가상자산사업자 (VASP)면허를 발급시키고 관리감독 한다던 [델리오] 수많은 피해자들은 국가기관에서 면허발급하고관리를 하는 한국에서 유일한 업체라는 점을 믿고 목숨과도 같은 소중한 자산을 예치 시킨
    2023-06-26 15:18
  • 정쓰임
    김남국 사태, 델리오 사태 하루라도 조용할 날이 없습니다. 가상자산은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입니다. 하루 빨리 법체계가 완성되어야 제도권으로 들어올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홍콩, 싱가포르, 일본으로 전세계 자금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미래산업을 방치하다가는 대한민국은 뒤처지게 되어 있습니다. 현재, 델리오에 가상자산을 예치하여 많이 힘든 상태입니다. 당국(금융위)에서 가상자산사업자 VASP를 인가하여 많은 시민들은 이를 믿고 안전하다고 가상자산을 예치하였습니다. 하루 속히 델리오 사태가 마무리 될 수 있도록 당국/정치권 관심부탁
    2023-06-26 10:21
  • 진이다
    고팍스 피해자들은 무려 8개월 넘게 고통속에 살아가고있다. 피해자들의 고통은 안중에도 없이 법적 사유가 없음에도 임원변경 수리를 지연만 시키고 있다. 고팍스 피해자들에게 민원에 시달려?? 말은 바로해라. 너희들이 그 수 많은 항의 전화 받은적이나 있더냐. 수백통 전화에 몇 통 받은게 그게 시달린거냐!!!
    2023-06-26 08:44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11: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700,000
    • +1.78%
    • 이더리움
    • 2,587,000
    • +1.45%
    • 비트코인 캐시
    • 530,000
    • +6.94%
    • 리플
    • 3,313
    • +2.6%
    • 솔라나
    • 213,300
    • +1.67%
    • 에이다
    • 1,011
    • +1.92%
    • 이오스
    • 987
    • +1.65%
    • 트론
    • 358
    • +1.99%
    • 스텔라루멘
    • 407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900
    • -2.82%
    • 체인링크
    • 21,700
    • +4.33%
    • 샌드박스
    • 436
    • +4.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