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르가 내 보스” 황우석, 동물 복제하며 UAE 정착

입력 2023-07-10 13: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넷플릭스
▲사진제공=넷플릭스
20여 년 전 동물 복제 연구로 국민적 영웅으로 떠올랐다가 논문 조작 사건으로 사회적 지탄을 받은 황우석 박사의 근황이 공개됐다. 현재 황 박사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바이오테크 연구센터에서 동물 복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다큐멘터리 ‘킹 오브 클론: 황우석 박사의 몰락’에서는 황 박사가 셰이크 만수르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부통령을 자신의 ‘보스’로 소개하며 그의 초청을 받아 이곳에 정착했다고 밝혔다. 만수르 부통령은 세계적인 부자이자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팀인 맨체스터 시티 구단주로 알려진 인물이다.

황 박사는 UAE에서 그간 낙타를 얼마나 복제했냐는 질문에 “150마리가 넘는다”고 답했다. 카메라는 메마른 사막을 뚫고 출근하는 그를 비추며 ‘인류 역사상 최초의 업적을 세웠지만 완전히 추락해서 무너졌다’고 설명했다.

황 박사는 복제 송아지에서 출발해 체세포 복제를 통해 배아줄기세포 기술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으며 난치병 치료의 신기원을 열 것이라는 기대를 받으며 노벨상 후보로 거론됐지만 그가 논문에서 밝힌 줄기세포는 거짓이었으며, 난자 채치 등 연구과정도 비윤리적이었던 사실이 드러났다. 황 박사는 검찰조사를 받고 8년의 법적공방을 거치며 우리나라 최고 과학자에서 연구부정을 자행한 부도덕한 인사로 낙인찍혔다. 결국 그는 서울대 교수직에서도 파면됐고 과학계에서도 사실상 퇴출됐다.

이후 황 박사는 UAE정부 초청으로 동물 복제 연구를 지속하고 있었다. 그가 지금까지 개와 낙타 등 1000여 마리가 넘는 동물을 복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황 박사는 “한국 과학계, 세계 과학계에 하나의 교훈과 이정표가 됐다고 볼 수 있다. 압박이 있었다고 핑계를 댄다면 그건 비겁한 것이다. 과욕 때문에 그런 일이 있었던 것이지 그걸 가지고 누구 핑계를 댈 수는 없다”면서 “만약 다시 태어나 인생을 다시 선택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저는 똑같은 길을 걷고 싶다”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00,000
    • +0.34%
    • 이더리움
    • 2,298,000
    • -0.26%
    • 비트코인 캐시
    • 479,900
    • -0.12%
    • 리플
    • 3,004
    • -0.89%
    • 솔라나
    • 194,100
    • +0.94%
    • 에이다
    • 890
    • +0%
    • 이오스
    • 904
    • +1.69%
    • 트론
    • 356
    • -0.56%
    • 스텔라루멘
    • 352
    • +2.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000
    • +1.59%
    • 체인링크
    • 18,350
    • +2.06%
    • 샌드박스
    • 375
    • +5.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