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리자전거, 전기자전거 ‘통합 A/S 시스템’ 구축…“부품 호환성 혁신”

입력 2023-07-20 09: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삼천리자전거)
(사진제공=삼천리자전거)

국내 전기자전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자전거 전문 기업 삼천리자전거가 고객 서비스 및 친환경 경영 강화를 위해 일반 자전거에 이어 전기자전거의 제품 간 부품 호환성을 높인 ‘통합 A/S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20일 밝혔다.

삼천리자전거는 “지난해 전기자전거 매출이 2019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하며 이용자층이 두터워짐에 따라, 전기자전거 관리 및 수리의 용이성을 높이고, 고객 편의성 및 만족도를 강화하고자 통합 A/S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기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에 비해 설계구조가 복잡하고 배터리와 모터를 비롯한 전동장치가 많아 일반적으로 부품 조달에 긴 시간이 소요되거나, 수리에 큰 비용이 드는 등의 불편이 많다는 점이 이번 통합 A/S 시스템 기획에 주효하게 반영됐다.

삼천리자전거의 전기자전거는 배터리, 모터,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부품부터 구동계, 서스펜션, 브레이크 등의 부품까지 모두 호환 가능해 수리 및 관리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됐다. 올해 출시한 전기자전거 18개 제품 모두 최소 2종에서 최대 18종까지 부품 호환이 가능하며, 이전 출시 제품과도 호환돼 구형 전기자전거도 새롭게 출시된 배터리와 모터 등으로 교체할 수 있다.

수리를 위한 부품 교체뿐만 아니라 높은 호환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대용량 배터리나 고출력 모터, 디스플레이, 대형 짐받이를 장착하는 등 사양 변경도 가능해 라이더 본인의 주행 환경과 스타일에 맞춰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통상 3년인 공산품의 의무 부품 보유 기간을 훌쩍 넘는 삼천리자전거의 전기자전거 부품 보유 기간도 이번 통합 A/S 시스템 구축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삼천리자전거는 통합 A/S 시스템 구축을 시작으로 제품을 고쳐 쓸 수 있는 소비자의 수리권을 더욱 강화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해 버려지는 폐기물을 줄이는 등 ‘친환경 경영’에도 힘쓴다는 방침이다.

삼천리자전거 관계자는 “이번 통합 A/S 시스템 구축으로 고객 편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제품 수명 연장을 통한 폐기물 감축으로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도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자전거 시장에 새롭고 건강한 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 완성차 업계 ‘주 4.5일제’ 논의 재점화…정치권 공약에 노조 요구 탄력
  • ‘찌를 필요 없다’ 먹는 비만약, 국내 시장 재편할까
  • “2나노 주도권 경쟁 본격화”…삼성전자, TSMC와 격차 좁힐까 [ET의 칩스토리]
  • 4월 서울 아파트 거래 68% 급감…‘토허제 역기저’에 강남3구 90%↓
  • 트럼프 車ㆍ부품 관세 완화에도 ‘공급망 재편’ 불가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789,000
    • +2.03%
    • 이더리움
    • 2,646,000
    • +2.12%
    • 비트코인 캐시
    • 519,500
    • -1.7%
    • 리플
    • 3,186
    • +0.6%
    • 솔라나
    • 216,700
    • +1.59%
    • 에이다
    • 1,013
    • +2.74%
    • 이오스
    • 1,012
    • +4.12%
    • 트론
    • 352
    • -1.4%
    • 스텔라루멘
    • 395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700
    • -2.1%
    • 체인링크
    • 21,220
    • +2.71%
    • 샌드박스
    • 434
    • +1.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