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리베이트 걸리면 약값 20% 강제 인하

입력 2009-05-13 11: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약산업 발전에 걸림돌이었던 제약사 '리베이트'에 대해 정부가 최대 의약품 가격을 20%까지 강제로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해 귀추가 주목된다.

13일 보건복지가족부는 '유통질서 문란 약제'의 상한금액 세부조정기준을 신설하는 내용을 포함한 신의료기술등의 결정 및 조정기준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오는 7월11일까지 의견수렴을 받는다고 밝혔다.

복지부의 이번 개정안에 따르면 유통질서 문란 약제의 상한금액은 결정금액 대비 부당금액의 비율로 조정하고 인하율은 상한금액의 20% 이내로 규정했다.

'유통질서 문란 행위'란 의약품 채택·처방유도 등 판매촉진을 목적으로 의약품 제조(수입)업자가 직접 혹은 도매업체를 통해 요양기관이나 의료인, 약사 등에게 금전, 물품, 학술지원비 및 향응 등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는 행위를 말한다.

유통질서 문란 행위가 확인된 약제의 인하율을 결정하게 될 '부당금액'은 리베이트 등으로 제공된 경제적 이익(물품 등은 금액으로 환산)의 총액이며 '결정금액'은 유통질서 문란 행위와 관련해 요양기관에서 처방·판매된 약제의 총액을 의미한다.

특히 리베이트 제공 등으로 상한금액 인하가 고시된 날 이후 1년 이내에 또 다시 유사행위가 적발됐을 경우에는 기준에 따른 약가인하와 함께 인하율의 50%를 가중해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단, 내·외복제 가운데 상한금액이 50원(액상제는 15원) 이하거나 주사제 500원 이하, 퇴장방지의약품 가운데 원가보전 대상, 마약 및 희귀의약품 등은 직권인하에서 제외토록 했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2007년 11월 국내 주요 제약회사 10곳의 불법 리베이트를 적발하고 200억여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으며 올 1월에도 다국적제약사 포함 7곳에 대해 200억여 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고 현재 3차 조사중이다.

업계에서는 매출액의 20% 정도가 리베이트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에 폭등…나스닥 12.16%↑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전문가 진단 “보호무역주의는 ‘뉴노멀’…공급망 재편 필요” [공급망 전쟁의 서막④]
  • 상호관세 90일 유예한 트럼프 "사람들이 겁먹고 있길래…"
  • 중추신경 질환 잡아라…신약개발·마케팅 집중하는 기업들
  • 국제유가 60달러 붕괴ㆍ정제마진 바닥…정유업계 초비상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09:3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462,000
    • +5.56%
    • 이더리움
    • 2,430,000
    • +9.81%
    • 비트코인 캐시
    • 446,100
    • +10.69%
    • 리플
    • 2,978
    • +10.01%
    • 솔라나
    • 173,300
    • +8.93%
    • 에이다
    • 921
    • +9.38%
    • 이오스
    • 1,039
    • +5.48%
    • 트론
    • 350
    • +1.16%
    • 스텔라루멘
    • 352
    • +5.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960
    • +7.92%
    • 체인링크
    • 18,450
    • +12.29%
    • 샌드박스
    • 378
    • +8.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