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반도체 단지 올해 말까지 초고압 3GW 등 5GW 공급 능력 추가

입력 2023-08-0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북당진-고덕 12월 2단계·고덕-서안성 송전선로 10일 준공
장기 지연된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내년 말 완공 목표
여름 전력수급 피크 10일 오후…0.5GW 예비자원 확보 등 산업부 전력공급 만전

▲경기남부, 서해안 지역 전력계통도.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경기남부, 서해안 지역 전력계통도.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평택 반도체 단지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500㎸ 북당진-고덕 초고압직류송전(HVDC) 2단계 사업이 이르면 올해 말 정상 가동 예정이다. HVDC 3GW와 일반 송전 2GW 등 총 5GW의 공급 능력이 추가된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일 500㎸ 북당진-고덕 HVDC 2단계 사업 및 345kV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등 당진지역 전력망 건설 현장을 점검했다.

500㎸ 북당진-고덕 HVDC 사업은 2020년 12월 1단계 준공 이후 올해 12월 2단계 사업 준공을 앞두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서해안 지역의 총 3GW의 발전력이 삼성전자 반도체 단지(D램, 낸드 등)가 위치한 평택을 비롯한 수도권 남부에 공급된다.

345㎸ 고덕-서안성 송전선로도 10일 준공한다. 변전소를 평택 반도체 단지 내 건설해 평택 반도체 단지(1~4공장) 전력공급능력을 2GW 더한다.

이 장관은 장기 지연사업인 345㎸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 건설 현장도 점검했다. 이 사업은 2003년 사업 개시 후 2012년 6월 준공 목표가 지속 연기돼 왔다. 현재 일부 지중화 공사가 남아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송전선로가 완성되면 서해안 지역 발전제약 해소와 함께 수도권 전력공급 능력 확대 효과가 기대된다.

산업부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향후 첨단산업 전력공급방안 마련에 앞서 이미 계획된 첨단산업 단지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질없이 이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올해 여름 최대 전력수요는 10일 오후로 전망했다. 8월 둘째 주 최대 전력수요를 92.7GW~97.8GW로 예측하고, 공급능력은 106.4GW 수준으로 보고 있다.

지난주 한빛 2호기 고장과 한빛 5호기 정비 및 양산 열병합 상업운전 등이 지연하고 있어 공급능력은 103.8GW로 다소 낮아졌다. 이에 산업부는 발전사업자들과의 협의로 약 0.5GW의 추가 예비자원을 확보했고 전력 다소비 건물과 사업장에는 조명 소등, 냉방기 순차 운휴 등을 요청하여 전력수요를 최대 1GW 줄일 계획이다.

이 장관은 “반도체, 바이오,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을 위해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와 첨단·소부장 특화단지에 대한 전력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와 한전이 함께 원팀이 돼 전력망 적기 건설에 두 팔을 걷고 나설 것”이라며 “관련 규제와 절차의 획기적인 개선, 지역적 수용성을 높이는 지자체 간 협력모델 마련, 한전의 투자역량 확충 등 기존 틀을 뛰어넘은 새로운 정책지원체계 마련에 본격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914,000
    • -0.63%
    • 이더리움
    • 2,626,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523,500
    • -3.15%
    • 리플
    • 3,137
    • -0.54%
    • 솔라나
    • 210,600
    • -0.89%
    • 에이다
    • 1,018
    • +2.52%
    • 이오스
    • 1,051
    • +1.25%
    • 트론
    • 353
    • +0%
    • 스텔라루멘
    • 391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600
    • -5.05%
    • 체인링크
    • 20,450
    • -2.8%
    • 샌드박스
    • 407
    • -5.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