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백신연구소, “‘L-pampo™’의 항암백신 면역증강제로서 효능 확인”

입력 2023-08-18 14: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pampo™와 항원으로 제조된 항암백신, 면역관문억제제 병용투여 시 효능 증대

▲차백신연구소 CI (사진제공=차백신연구소)
▲차백신연구소 CI (사진제공=차백신연구소)

차백신연구소는 독자 개발한 면역증강제 ‘L-pampo™(엘-팜포)’의 항암백신 면역증강제로서의 효능과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18일 밝혔다.

항암백신은 암세포에 발현되는 항원을 특이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T세포를 증가시켜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는 면역항암제의 한 종류다. 항암백신을 개발할 때 항원과 더불어 항원제시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면역증강제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전은영 차백신연구소 연구부소장은 동물실험에서 이미 상용화돼 있거나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면역증강제 Alum(알룸), Montanide(몬타나이드), GM-CSF(과립구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와 L-pampo™의 효능을 비교해 L-pampo™가 항원제시세포인 수지상세포를 더 효과적으로 활성화고, 항원 특이적인 T세포의 면역원성을 높이며, 이에 따라 암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에서 L-pampo™와 항원으로 제조된 항암백신을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 투여했을 때 T세포의 면역원성이 면역관문억제제 단독 투여 대비 25배 이상 증가되고, T세포의 활성화도 또한 15~40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실제 암 동물모델에서 병용투여 시 면역관문억제제 단독 투여 대비 암세포의 크기가 현저히 줄어들어 거의 소멸하는 것도 확인했다. 또 면역관문억제제 단독 투여 시에는 암으로 인해 실험 동물이 생존하지 못하는 것 대비 병용투여 시 장기간 생존했다.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면역관문억제제는 세포독성이 없어 기존 항암제보다 효과 및 부작용 면에서 뛰어나지만, 반응률이 30% 미만이라는 한계가 있다. 이런 낮은 반응률은 암세포 특이적인 T세포가 충분하지 않거나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면역관문억제제의 낮은 반응률을 극복하기 위해 다른 면역항암제와의 병용요법이 매우 중요한데, 다양한 면역항암제 중 항원 특이적인 T세포의 면역원성을 높일 수 있는 항암백신과의 병용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전 연구부소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L-pampo™가 기존의 항암백신 면역증강제에 비해 수지상세포의 활성화 및 성숙을 월등히 증가시킬 뿐 아니라 항암효과를 증대시키며 면역관문억제제의 낮은 반응률을 극복할 수 있는 병용요법 후보군으로서의 L-pampo™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한편, 해당 연구결과는 암 분야 국제학술지 ‘Cancers’ 최신호에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169,000
    • +2.11%
    • 이더리움
    • 2,717,000
    • +4.46%
    • 비트코인 캐시
    • 591,000
    • +12.14%
    • 리플
    • 3,092
    • +2.08%
    • 솔라나
    • 214,400
    • +2.93%
    • 에이다
    • 1,002
    • +4.05%
    • 이오스
    • 1,186
    • +15.93%
    • 트론
    • 354
    • +2.02%
    • 스텔라루멘
    • 382
    • +3.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400
    • +6.85%
    • 체인링크
    • 20,750
    • +5.65%
    • 샌드박스
    • 410
    • +5.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