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경영] LG화학, ‘지속 가능성’ 핵심 경쟁력으로…비즈니스 모델 혁신

입력 2023-08-28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G화학 미래기술연구센터 연구원들이 신규 개발한 생분해성 신소재의 물성을 테스트하고 있다.(사진제공=LG화학)
▲LG화학 미래기술연구센터 연구원들이 신규 개발한 생분해성 신소재의 물성을 테스트하고 있다.(사진제공=LG화학)
LG화학은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을 핵심 경쟁력이자 최우선 경영과제로 삼고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LG화학은 지난해 글로벌 ESG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2050년까지 넷제로(Net-Zero)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환경과 사회를 위한 혁신적이며 차별화된 지속 가능한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하는 △기후변화 대응 △재생에너지 전환 △자원 선순환 활동 등을 추진하고 있다.

목표 달성을 위해 2050년 탄소배출 예상치 대비 총 2000만 톤을 줄여야 한다. 탄소 배출량 2000만 톤은 화석연료 차량 830만 대가 1년 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으로 소나무 약 1억4000만 그루를 심어야 상쇄할 수 있다.

LG화학은 혁신 공정 도입, 친환경 원료·연료 전환,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까지 전 과정 환경영향평가(LCA)를 국내외 전 제품을 대상으로 완료할 계획이다.

전 세계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도 태양광, 풍력 등에서 나오는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한다. 국내외에서 녹색프리미엄제, 전력직접구매(PPA) 등을 통해 340GWh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확보했다.

친환경 프리미엄 통합 브랜드 LETZero(렛제로)를 론칭하고, 재활용·바이오·썩는 플라스틱 등 친환경 시장 공략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LG화학은 ‘LETZero’ 브랜드를 재활용·바이오·썩는 플라스틱 제품에 우선 적용한 후, 배터리 소재 등 친환경 제품 전 영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LG화학은 화학적 재활용 공장 설립 및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화학은 2024년까지 충남 당진에 국내 최초의 초임계 열분해유 공장을 연산 2만 톤 규모로 건설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 공급망 다변화 열쇠 ‘글로벌 사우스’에 주목 [2025 ‘코피티션’ 下]
  • 푸바오 근황…다 큰 푸바오 '가임신 증상' 보였다
  • 한동훈 '재해석'ㆍ홍준표 '역공'…국힘 4인방의 '금강불괴' [왕이 될 상인가]
  • '나솔사계' 10기 영식, 딸과 전화 통화 후 눈물…"인기도 없고 욕도 먹을 것, 참 어려워"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09:2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650,000
    • +0.44%
    • 이더리움
    • 2,546,000
    • -1.05%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0%
    • 리플
    • 3,164
    • -0.5%
    • 솔라나
    • 218,900
    • +1.25%
    • 에이다
    • 1,035
    • +3.71%
    • 이오스
    • 983
    • +1.76%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402
    • +5.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450
    • +0.61%
    • 체인링크
    • 21,700
    • +0.51%
    • 샌드박스
    • 434
    • +2.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