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설화 메리츠證 연구위원 “중국자본 철수 가능성 낮아…철수한다면 홍콩 직격탄”

입력 2023-08-31 07:20 수정 2023-08-31 08: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포의 ‘차(China)마겟돈’]⑤

최근 중국 부동산 업체 연쇄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로 촉발된 ‘경제 쇼크’ 공포와 에버그란데(중국명 헝다)의 파산보호 신청 등으로 인해 중국 경제가 동시다발적인 ‘칵테일 악재’에 직면했다. 위기가 현실화하고 커진다면 중국 정부도 자본 통제에 나설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는 곧 세계시장에서의 중국 기업 자본 철수 가능성으로 이어져 세계 경제, 특히 신흥국 경제에 커다란 위협이 될 수 있다. 본지가 중국 전문가 7인에게 ‘차(China)마겟돈’ 가능성을 물었다.

최설화<사진>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신용위험 상승에 따른 중국 자본의 해외 철수 가능성은 작게 봤다. 만약 중국자본이 해외시장에서 실제 철수한다면 아시아 시장과 특히 홍콩 경제가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 중국의 경제 위기는 장기화할 것인가, 부동산 및 그림자 금융이 중국을 무너뜨릴 것으로 보는가

“과거 고속 성장의 대가로 중국은 공급과잉과 부채 증가를 초래했다. 미·중 갈등이 심화하고 글로벌 공급망에서의 탈중국 심화에 전반 수요가 부진해지면서 기존 성장 모델이 점차 한계에 달하는 양상이다. 부채 구조조정의 방법은 잠재 성장률 이상을 유지하는 것인데, 수요 부진에 성장 유지가 어려워지면서 부채 구조조정도 어려움에 직면하는 상황이다. 중앙정부의 국채 발행 등 정책 여력이 있어 해결이 가능해 보이나, 발표 시간이 지체된다면 현재의 위기가 장기화할 가능성은 크다고 생각한다.”

- 중국정부가 자본을 통제하고 투자 여력이 줄어든 중국 자본이 세계시장에서 철수한다면,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가

“현재 중국의 신용위험 상승은 디벨로퍼에서 나타나고 있어 해외에 투자된 중국 자본의 철수까지 논의하기 어렵다. 만약 철수한다면 2021년 기준 해외투자에서 6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아시아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다음으로 25%를 차지하는 라틴아메리카일 것이다.”

- 선진국보다는 신흥국에 더 영향이 크지 않을까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아시아 투자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홍콩이다. 홍콩에 대한 중국의 대외투자 비중은 87%로 압도적으로 높다. 자본을 철수한다면 홍콩 경제가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다음으로 싱가포르(3.79%), 인도네시아(1.1%), 마카오(0.63%), 베트남(0.612%), 말레이시아(0.58%), 태국(0.56%) 순이다. 중국 자본이 철수된다면 이런 국가들의 영향이 좀 더 커질 전망이다.”

- 한국 실물 금융 자본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줄 것으로 보는가. 위기 대응 방안이 있다면

“2021년 기준 한국에 투자한 중국 자본의 비중은 전체 아시아투자에서 0.37%이며, 비금융부문 투자잔고는 66억 달러(약 8조6000억 원)다. 주식시장에서 중국계 투자자의 비중도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 때문에 한국 금융시장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다. 대신 중국의 저성장, 위안화 약세 등 중국 금융시장의 불안이 투자심리 악화를 초래하며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약화시키는 간접적인 영향은 존재하다고 판단된다. 오히려 한국에 설정된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잔고가 약 17조 원으로 파악되는데, 내년 상반기 만기도래 규모가 커서 중국증시가 계속 부진할 경우 ELS 상환이 실패하며 고객들의 투자손실이 커질 위험이 존재한다.”

- 중국 자본 철수가 세계화의 종말을 더 가속할 것인가? 미국의 패권을 더 강화할 것으로 보는가

“자본철수 가능성을 낮게 보는데, 만약 철수한다면 미국 패권은 더 강화될 것이다.”

- 이러한 자산가격 하락이 다른 국가(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인가

“국가별 체력에 따라 다르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국가의 자산가격이 하락하면 제3의 국가 자본이 저가매수할 것으로 판단하며, 이는 제3의 국가에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기도 품절이라고요?"…Z세대 '뷰티 방앗간' 된 다이소, 다음 대란템은? [솔드아웃]
  • ‘슈팅스타’ 오늘 첫 방송…‘큰 산’ 최강야구 넘을까? [해시태그]
  • 우리은행장 교체 수순…차기 행장 후보 내주 윤곽 나올 듯
  • 단독 부모-자녀 한 동네 사는 실버타운 만든다더니…오세훈표 '골드빌리지' 무산
  • ‘더 게임 어워드’ 올해의 게임 후보 6선…각 작품 경쟁력은? [딥인더게임]
  • "동덕여대 손해배상 상대 특정 어려워…소송 쉽지 않을 것"
  • 트럼프 등에 업은 머스크, 베이조스 겨냥…“그는 트럼프 패배 원했다”
  • 이재명, 또 입단속…“거친 언행 주의해달라”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389,000
    • -0.91%
    • 이더리움
    • 4,613,000
    • -1.64%
    • 비트코인 캐시
    • 683,500
    • -0.29%
    • 리플
    • 2,184
    • +22.97%
    • 솔라나
    • 354,300
    • -1.86%
    • 에이다
    • 1,477
    • +27%
    • 이오스
    • 1,078
    • +14.8%
    • 트론
    • 284
    • +1.43%
    • 스텔라루멘
    • 524
    • +3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050
    • -1.93%
    • 체인링크
    • 22,780
    • +8.74%
    • 샌드박스
    • 520
    • +6.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