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500만 프리터족을 어찌하오리까

입력 2009-05-18 10:31 수정 2009-05-18 13: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香氣)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시인 김춘수의 대표적 시 '꽃' 이다. 이 시는 관념적인데다 형이상학적, 존재론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데다, 대상에 대한 갈망적인 어조로 인해 패러디한 시들이 여러 개 있다.

최근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비정기적인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프리터(Free-Arbeiter)족이 500만명을 육박할 것이라고 밝혔다. 취업을 하지 못한 20대에 비정규직으로 취업한 30~40대까지 안정적인 직장을 구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경제성장 속도 둔화, 노동 집약형에서 노동 절약형 산업구조로 바뀌고 있는데다, 급격히 증가하는 대졸자에 비해 중소기업에 취직하려는 사람이 적은 것이 프리터족 증가의 한 원인으로 지적됐다.

MB정부가 잡세어링(Job sharing)을 통한 실업 대책을 내놓자, 재계는 고통 분담을 통해 일자리 늘리기 보다는 신입사원에게 고통을 전가하고,안정적인 일자리 보다는 단기 일용직을 양산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김춘수 시인의 '꽃'을 가지고 패러디 시가 인터넷을 통해 회자 되고 있어 취업준비생들이 구직에 대한 갈망이 어느 정도 인지 짐작케 한다.

'내가 학생일 때는 실업은 그저 남의 이야기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취업을 하고자 이력서를 내밀었을 때, 실업은 곧 나에게로 와서 나를 실업자의 모습으로 바꾸었다.

내가 토익 900점에 각종 자격증을 따기 위해 노력한 만큼, 나의 노력과 실력에 알맞은 일자리를 다오. 그곳에 가서 나도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취업을 하고 싶다. 사회는 나에게 나는 이 사회에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구성원이 되고 싶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4:1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027,000
    • -1.15%
    • 이더리움
    • 4,760,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30,000
    • -0.75%
    • 리플
    • 661
    • -1.34%
    • 솔라나
    • 192,300
    • -0.67%
    • 에이다
    • 536
    • -2.72%
    • 이오스
    • 803
    • -0.86%
    • 트론
    • 173
    • +0.58%
    • 스텔라루멘
    • 125
    • -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50
    • -2.12%
    • 체인링크
    • 19,420
    • -2.95%
    • 샌드박스
    • 467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