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철도노조 수서행 KTX 운행 요구는 정책사항, 파업 대상 아냐"

입력 2023-09-07 17: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파업 강행 시 법ㆍ원칙 따라 엄정 대응

▲한문희 코레일 사장이 8일 태풍 카눈 북상에 따른 열차안전운행 확보를 위해 전국의 본부를 연결하는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대응태세를 점검했다. (사진제공=한국철도공사)
▲한문희 코레일 사장이 8일 태풍 카눈 북상에 따른 열차안전운행 확보를 위해 전국의 본부를 연결하는 긴급 영상회의를 열고 대응태세를 점검했다. (사진제공=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7일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이 내세운 수서행 KTX 운행 요구 등은 정부의 정책사항으로 노사교섭이나 파업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파업 강행 시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할 것을 분명히 했다.

코레일은 이날 철도노조가 14일부터 18일까지 1차 총파업 돌입을 예고한 것과 관련 "국민을 불안케 하는 파업 계획을 즉시 철회하고 지금은 노사가 합심해 열차 안전 운행에 주력할 때"라고 강조했다.

코레일은 철도노조가 내세운 수서행 KTX 운행 요구 등은 정부의 정책사항으로 노사교섭이나 파업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했다.

특히 최대 명절인 추석을 앞두고 파업에 돌입하는 것은 열차를 이용하려는 많은 분의 기대를 저버리고 불신만을 키우는 것이라며 철도노조에 국민께 깊은 심려를 끼치는 일체의 투쟁을 즉시 철회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이어 그동안 극한 호우와 폭염, 태업으로 인한 열차 지연으로 불편을 겪어온 국민에게 또다시 파업으로 불편을 가중하는 것은 국민 편익 증진과 공공성 확대라는 노동조합의 주장에도 역행하는 것으로 노동조합의 현명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지금은 노사가 함께 스스로 역량을 키우고 열차 안전에 대한 국민 신뢰를 회복하며 편안하고 쾌적한 서비스로 편익을 증진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한문희 사장은 "노사 간 지속적인 대화로 마지막까지 사태 해결에 전력을 기울이겠다”며 “파업에 대비한 철저한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고 가용자원을 모두 활용해 불편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열차운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074,000
    • +2.1%
    • 이더리움
    • 2,558,000
    • +2.94%
    • 비트코인 캐시
    • 520,000
    • +1.76%
    • 리플
    • 3,160
    • +2.8%
    • 솔라나
    • 222,300
    • +5.76%
    • 에이다
    • 1,036
    • +6.91%
    • 이오스
    • 976
    • +6.55%
    • 트론
    • 351
    • +0.57%
    • 스텔라루멘
    • 408
    • +8.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50
    • +18.3%
    • 체인링크
    • 21,740
    • +6.2%
    • 샌드박스
    • 444
    • +8.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