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점포 인형뽑기방 지폐교환기 턴 10대들…“잡기 힘들 수 있다”

입력 2023-09-25 10: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상관 없음.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상관 없음. (출처=게티이미지뱅크)
10대로 추정되는 학생들이 무인점포 인형뽑기방에 들어가 지폐교환기에 들어있는 현금 수백만 원을 훔치는 모습이 CCTV에 포착됐다.

24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경기 의정부시에서 인형뽑기방을 운영하는 점주 A 씨의 사연이 게재됐다.

A 씨는 “24일 새벽 5시 30분께 중학생 정도로 보이는 학생 3명이 와서 지폐교환기 3대에서 대략 400만 원 정도 훔쳐갔다”라며 내부 CCTV 사진을 함께 공개했다. A 씨는 “들고 있는 쇼핑백 안에 가위가 여러 개가 들어있었다”라고 CCTV에 찍힌 모습을 설명했다.

이어 “통합키를 교환기에 뒀는데, 가위로 기계를 열고, 통합키로 2중 잠금 돼 있는 것들도 다 열고 가져갔다”며 돈도 돈이지만 통합키를 가지고 가버려서 기계도 못 열고 또 올까 봐 돈도 못 채우고 장사도 못 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경찰에 신고하고 지문 채취까지 했는데, 애들이 전과가 없거나 나이가 어려서 잡기 힘들 수도 있다고 한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CCTV 속 학생 3명은 아직 앳된 모습이다. 이를 두고 네티즌들 사이에선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만 14세 미만인 촉법소년들의 소행일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보안업체 에스원에 따르면 국내 무인매장 절도범 중 절반은 1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에스원은 2019년부터 올해 6월까지 고객처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0대 비중이 52%로 가장 컸다고 25일 밝혔다. 무인매장 피해 품목의 91%는 현금이었다. 절도범들은 망치, 드라이버 등으로 키오스크를 파손해 현금을 빼 간 것으로 나타났다.

에스원 관계자는 “무인매장 절도 범죄의 가장 큰 특징은 미성년 절도범이 많다는 것”이라며 “최근 10대 사이에서는 SNS를 통해 절도 범행 요령까지 공유하는 등 하나의 놀이처럼 번지고 있어 더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389,000
    • -0.35%
    • 이더리움
    • 2,307,000
    • -0.47%
    • 비트코인 캐시
    • 495,400
    • +3.1%
    • 리플
    • 3,013
    • +0.07%
    • 솔라나
    • 193,800
    • -0.46%
    • 에이다
    • 906
    • +0.55%
    • 이오스
    • 915
    • -0.97%
    • 트론
    • 349
    • -3.06%
    • 스텔라루멘
    • 352
    • +1.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30
    • +2.45%
    • 체인링크
    • 18,300
    • +0.49%
    • 샌드박스
    • 377
    • +4.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