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가계대출 2조4000억↑…금융당국 압박에 증가폭은 축소

입력 2023-10-1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9월 가계대출 증가율 추이(전년 동월 대비, 단위:%) (자료제공=금융위원회)
▲9월 가계대출 증가율 추이(전년 동월 대비, 단위:%) (자료제공=금융위원회)
지난달 가계대출이 2조4000억 원 늘어나며 여섯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최근 금융당국의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등 압박한 것이 다소 효과를 거두며 증가 폭은 다소 줄어든 모습이다.

12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9월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4000억 원 증가했다. 4월 이후 여섯 달 연속 증가세다. 다만 8월 가계대출이 6조1000억 원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 폭은 크게 축소됐다.

대출항목별로는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그 폭이 줄었으며, 기타대출은 감소 폭은 다소 확대됐다. 주담대의 경우 제2금융권은 4000억 원 줄었지만, 은행권은 6조1000억 원 늘어 총 5조7000억 원 증가했다. 기타대출은 추석 상여금 유입 등으로 한도대출 등이 줄어들면서 은행권이 1조3000억 원, 제2금융권이 2조1000억 원 감소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은 증가세가 둔화했으며,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감소 폭이 확대됐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4조9000억 원 증가하며 6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했다. 은행권 주담대는 집단대출이 3000억 원, 전세대출이 1000억 원 늘면서 증가 폭이 소폭 확대됐다. 일반개별주담대는 3조6000억 원, 정책모기지가 2조1000억 원 늘면서 증가폭은 다소 줄었다.

기타대출은 신용대출 감소 폭이 확대되면서 총 1조3000억 원 감소했다.

은행권 주담대가 다소 줄어든 것은 '50년 만기 주담대'에 대한 금융당국의 압박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금융당국은 '50년 만기 주담대'를 가계부채 급증의 핵심으로 지목하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 시 만기를 최장 40년으로 제한하고 가산금리까지 적용하기로 했다.

특례보금자리론 역시 일반형 특례보금자리론 상품의 지원대상자(부부합산 연소득 1억 원 초과 차주 또는 6억~9억 원 이하 주택대상)와 이미 주택을 보유하고 있던 일시적 2주택자는 지난달 27일부터 접수를 중단했다.

제2금융권은 보험업에서 3000억 원의 가계대출이 증가했지만, 상호금융에서 1조9000억 원, 저축은행 1000억 원이 줄었다. 여전사(8000억 원↓)도 분기말 상각효과 등으로 감소 전환하면서 총 2조5000억 원 줄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9월 중 가계대출 증가 폭이 축소됐으나 가계대출 규모가 여전히 높고 10월에는 가을철 이사수요, 신용대출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다시 증가 폭이 늘어날 수 있다"며 "가계대출 추이를 지속해서 모니터링하는 한편, 실수요자 위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시총 90% 증발한 만트라 코인…'먹튀'냐 '조정'이냐 대혼돈
  • 오세훈·유승민 지지표 한동훈으로...尹, 홍준표 지지시 요동[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치솟은 美국채 금리에 채권개미 ‘엑소더스’
  • '최강야구'에서 '불꽃야구' 준비 마친 박용택…새 장비 스포됐다
  • ‘관세 리스크’ 악재인가 반사이익인가…셈법 복잡한 HMM
  • 아무도 안온다… 엑시트만 남은 10년의 민낯 [脫 한국, 실패한 리쇼어링①]
  • 눈 뜨면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롤러코스터 타는 기업들 '패닉'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900,000
    • +1.03%
    • 이더리움
    • 2,380,000
    • +1.06%
    • 비트코인 캐시
    • 480,000
    • -2.93%
    • 리플
    • 3,102
    • +0.81%
    • 솔라나
    • 190,600
    • -0.73%
    • 에이다
    • 930
    • +0.32%
    • 이오스
    • 891
    • -0.34%
    • 트론
    • 365
    • -1.62%
    • 스텔라루멘
    • 349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650
    • -0.85%
    • 체인링크
    • 18,390
    • +0.16%
    • 샌드박스
    • 373
    • -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