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규 차관, SK C&C판교데이터센터 방문…“지난해 화재 후 안정성 강화 노력”

입력 2023-10-24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박윤규 제2차관이 지난해 화재사고가 발생한 SK C&C 판교데이터센터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I. (사진=이투데이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박윤규 제2차관이 지난해 화재사고가 발생한 SK C&C 판교데이터센터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I. (사진=이투데이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박윤규 제2차관이 지난해 화재사고가 발생한 SK C&C 판교데이터센터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SK C&C 데이터센터 화재사고 대책으로 3월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디지털서비스 안정성 강화방안’의 핵심사항에 대해서 데이터센터・부가통신사업자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이뤄졌다.

데이터센터의 경우 화재와 서비스 중단의 주요 원인인 △배터리 화재 시 사전탐지를 위한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계측주기 단축(1분→10초) △화재 확산방지를 위해 배터리실과 타 전력설비(UPS・전력선 등)와의 분리 격실 △재난 시에도 전체전력이 차단되는 않도록 전력 차단구역 세분화 및 단계별 차단방안 수립 등을 점검했다.

부가통신서비스의 경우 많은 국민이 이용하는 네이버・카카오 서비스 안정성 유지와 관련해 △재난 시에도 안정적 서비스 유지를 위한 주요 운영・관리 도구의 다중화 △상호의존적으로 구성된 기능・서비스를 독립적인 구조로 개선해 특정 서비스 장애 시 연관 서비스 영향 최소화 △다양한 데이터센터로 서비스 분산 등의 구현여부를 확인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점검을 계기로 국민의 이용이 많은 디지털 서비스에 대해서 국가적 인프라로서 안정적 서비스 제공이 될 수 있도록 관리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박윤규 제2차관은 “많은 국민이 안심하고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난 1년간 안정성 강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기업에서는 동일한 디지털 재난이 발생하지 않도록 재난 예방에 많은 투자와 모니터링을 지속해 줄 것을 당부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문수 후보직 박탈-한덕수로 강제교체...파국 치닫는 국힘
  • 3050 공략 스테디셀러 ‘삼국지 IP’, 어떤 게임 해볼까? [딥인더게임]
  • “러닝족은 귀하신 몸”…패션업계, 러너 체험 마케팅·전문관 봇물
  • ‘단종할 땐 언제고’...식품업계, 저비용·높은 화제성 노린 재출시 열풍
  • “유심 털리니 계좌도 걱정”…은행권, ‘얼굴 인증’ 강화
  • 죽은 연애 세포 되살려내는 '바이러스'…배두나·김윤석·장기하의 만남 [시네마천국]
  • "이곳저곳 떠나보세요"…황금연휴, 가족 행사로 마무리하는 법 [주말N축제]
  • 중국, 미국 수출 제재에도 엔비디아 칩 확보한 방법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00,000
    • +0.49%
    • 이더리움
    • 3,365,000
    • +2.5%
    • 비트코인 캐시
    • 590,500
    • +3.05%
    • 리플
    • 3,341
    • +1.18%
    • 솔라나
    • 239,900
    • +2.78%
    • 에이다
    • 1,121
    • +2.28%
    • 이오스
    • 1,357
    • +14.03%
    • 트론
    • 370
    • +1.93%
    • 스텔라루멘
    • 425
    • +0.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350
    • +4.86%
    • 체인링크
    • 22,870
    • +1.46%
    • 샌드박스
    • 484
    • +5.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