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한전 사장, 취임 첫 행보로 '동해안-수도권 초고압직류송전' 사업 현장 찾아

입력 2023-11-02 08: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가경쟁력과 직결된 핵심 전력망부터 직접 챙길 것"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1일 수도권 지역의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미래 핵심 전력망인 ‘동해안-수도권 HVDC 사업’ 공사 현장을 찾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전력)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1일 수도권 지역의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미래 핵심 전력망인 ‘동해안-수도권 HVDC 사업’ 공사 현장을 찾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전력)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취임 첫 행보로 '동해안-수도권 초고압직류송전(HVDC)' 사업 현장을 찾았다. 국가경쟁력과 직결된 핵심 전력망부터 직접 챙긴다는 각오다.

2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김 사장은 지난달 31일부터 이틀간 수도권 지역의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미래 핵심 전력망인 ‘동해안-수도권 HVDC 사업’의 주요 현장들을 순차적으로 찾아 본격적인 현장경영 행보를 시작했다.

먼저 지난달 31일에는 동서울변환소를 방문해 종합현황을 보고받고, 건설 예정인 신규 변환소 부지와 지중화 공사 현장을 집중 점검했다.

이달 1일에는 강원도 지역으로 이동, 이해관계자를 차례로 만나 HVDC 선로의 적기 건설을 위한 협조를 요청하고 지역 상생 방안을 논의했다.

동해안-수도권 HVDC 사업은 동해안 지역의 대규모 전력을 230km 떨어진 수도권으로 연결하는 국가 핵심 전력인프라 프로젝트다.

HVDC가 2025년 6월까지 적기 건설되면 동해안 지역 발전제약을 해소하고, 수도권 반도체 클러스터의 안정적 전력공급 등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신한울 3·4호기의 건설과 연계해 무탄소 에너지(CFE)를 확대하기 위해서도 HVDC 송전선로의 신속한 추가확보가 필수적이다.

김 사장은 이번 국가적 핵심 인프라인 HVDC 사업 현장 방문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현장경영을 시작했으며, 취임 이후 40여 일간 계속했던 ‘24시간 본사 근무’는 지난달 30일 종료했다.

김 사장은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는 국가의 산업경쟁력과 직결된 핵심 전력망인 만큼 적기 건설을 위해 회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가 핵심 인프라의 적기 건설을 위해 한전도 과거 일방적인 추진 방식을 탈피해 주민과의 대화와 소통을 통한 합리적인 보상과 지원 사업을 강구할 것인 만큼 지자체와 지역주민의 대승적인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745,000
    • +0.55%
    • 이더리움
    • 2,365,000
    • +2.83%
    • 비트코인 캐시
    • 504,000
    • +9.92%
    • 리플
    • 3,071
    • +3.54%
    • 솔라나
    • 186,800
    • +5.72%
    • 에이다
    • 940
    • +2.4%
    • 이오스
    • 983
    • +7.08%
    • 트론
    • 360
    • +1.69%
    • 스텔라루멘
    • 354
    • +3.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900
    • +2.02%
    • 체인링크
    • 18,910
    • +1.67%
    • 샌드박스
    • 391
    • +1.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