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한국 제안 'CFE 이니셔티브' 동참…탄소중립 수단으로 원전 중요성 강조

입력 2023-11-24 1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8차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8차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랍에미리트(UAE)가 윤석열 정부가 제안한 '무탄소에너지(CFE·Carbon Free Energy) 이니셔티브에 동참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UAE 원자력공사(ENEC)는 24일 화상회의를 통해 우리나라의 ‘CFE 이니셔티브’와 ENEC과 세계원자력협회(WNA)의 '넷제로 뉴클리어 이니셔티브(Net Zero Nuclear Initiative)'를 교차 지지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교차 지지 선언은 CFE 이니셔티브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탄소중립 수단으로서 원자력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CFE 이니셔티브는 원전, 수소, 재생 등 다양한 CFE를 활용, 에너지 분야의 탈탄소화를 촉진하는 글로벌 캠페인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올해 9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UN 총회에서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원전·수소를 청정에너지에 포함한 'CF(Carbon Free) 연합'을 제안한 바 있다.

이번 UAE ENEC의 동참으로 글로벌 기후 아젠다로서 CFE 이니셔티브의 위상이 높아졌다. ENEC의 지지 선언은 CFE 이니셔티브가 국제사회에 점차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또한,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원전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국제적으로 재확인됐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한국이 동참한 넷제로 뉴클리어 이니셔티브는 탄소중립 달성의 현실적 대안으로써 원자력의 핵심적 역할을 인정하고 이를 위해 원자력 용량 확대, 기술개발, 금융 지원 등 다각적인 노력을 촉구한다.

앞으로 양국은 전 세계 원전 확대에 관심 있는 국가의 참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이번 교차 지지를 계기로 양국이 확고한 의지를 바탕으로 기후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이를 위해 양국이 제안한 CFE 이니셔티브와 넷제로 뉴클리어 이니셔티브가 국제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대법,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유죄 확정…권오수‧‘전주’ 징역형 집행유예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00,000
    • -1.1%
    • 이더리움
    • 2,689,000
    • -2.57%
    • 비트코인 캐시
    • 449,700
    • -1.49%
    • 리플
    • 3,023
    • -2.95%
    • 솔라나
    • 175,600
    • -4.77%
    • 에이다
    • 961
    • -3.32%
    • 이오스
    • 1,196
    • +0.42%
    • 트론
    • 349
    • -0.29%
    • 스텔라루멘
    • 387
    • -3.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430
    • -2.32%
    • 체인링크
    • 19,140
    • -3.67%
    • 샌드박스
    • 384
    • -3.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