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H지수 ELS’ 판매 은행·증권사 전수조사…불완전판매 의혹 점검

입력 2023-11-26 16: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홍콩 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주가연계증권(ELS)에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금융당국이 현장조사에 돌입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 은행검사1국은 20일부터 KB국민은행에 조사 출장(현장점검)을 나가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 발행 및 만기도래 현황, 손실 예상액, 은행과 증권사 측 대응 방안 등을 살피고 있다. 검사 기간은 최대 2주 일정으로 점검에 나서고 있다.

하나·신한·우리·NH농협 등 주요 판매 은행들에 대해서도 서면 조사를 할 예정이다. 증권사 중에서도 최대 판매사인 미래에셋증권과 KB증권 등 5∼6곳이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KB국민은행이 제일 많이 판매했기 때문에 일종의 샘플로 조사를 하는 것”이라면서 “현재 판매 현황과 고객의 ELS 관련 민원에 은행과 증권사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당국이 ELS 관련 상품에 대한 불완전판매가 있었는지 따져볼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고위험 파생상품을 은행 창구에서, 상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노년층에 판매하는 것이 적정한지 의문을 갖고 있다”며 “피해자 보호뿐 아니라 다른 금융시장 상황과도 맞물려 있어서 ELS 손실 문제를 눈여겨보겠다”고 언급했다.

다만 은행권은 불완전판매 가능성은 적다는 입장이다. 2021년 3월 금융소비자법 실행과 맞물려 대부분 판매 과정에서 녹취와 자필 서명이 이뤄져 불완전판매 가능성이 작다는 것이다. 또한 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와 다르게 ELS는 과거부터 꾸준히 판매된 상품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과거 DLF 사태의 경우 상품설명서에 투자하겠다고 명시했지만 실제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던 게 문제가 됐다”며 “ELS는 이와 다르게 지수와 연계된 것이기 때문에 상품 구성이 다르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에 폭등…나스닥 12.16%↑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전문가 진단 “보호무역주의는 ‘뉴노멀’…공급망 재편 필요” [공급망 전쟁의 서막④]
  • 상호관세 90일 유예한 트럼프 "사람들이 겁먹고 있길래…"
  • 중추신경 질환 잡아라…신약개발·마케팅 집중하는 기업들
  • 국제유가 60달러 붕괴ㆍ정제마진 바닥…정유업계 초비상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12: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441,000
    • +5.82%
    • 이더리움
    • 2,371,000
    • +10.79%
    • 비트코인 캐시
    • 435,800
    • +8.95%
    • 리플
    • 2,918
    • +10.36%
    • 솔라나
    • 169,900
    • +9.4%
    • 에이다
    • 901
    • +8.29%
    • 이오스
    • 1,010
    • +2.54%
    • 트론
    • 351
    • +2.33%
    • 스텔라루멘
    • 345
    • +5.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70
    • +7.94%
    • 체인링크
    • 18,030
    • +12.27%
    • 샌드박스
    • 373
    • +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