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청색경제는 전 세계 경제규모 1500억 달러, 일자리 3000만 개, 양질의 단백질을 30억 명에게 공급한다. 2030년 경제규모는 3000억 달러로 늘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반해 한국의 청색경제는 암울하다. 어촌의 경우 2045년 80% 이상이 소멸할 위험에 처해있다. 지방소멸에 비해 더욱 심각하다. 어촌 고령화, 어가소득 감소, 어로 활동의 고됨, 귀어인에 대한 차별 등이 이유다.
디지털 전환과 기후위기로 특징 지워지는 21세기 전반기에 청색경제의 중요성을 삼면이 바다인 한반도에서는 반복해서 강조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의 청색경제는 어둡다. 아이러니를 넘어서 비극적이다. 한국의 청색경제를 위한 전략을 제언한다.
미래전략과 청색경제 전략을 결합해야 한다. 우리 바다의 수온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산물 생태계의 변화를 전망하고, 예측해야 한다. 지구별·업종별 수협과 어촌계가 예측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돌발변수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2025년 지구 해류 시스템이 정지할 것이라는 경고가 있다. 이 경고가 실현될 가능성은 작으나, 현재의 기후온난화가 지속된다면 머지않아 해류 시스템이 정지할 것이다.
어가소득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어업이 기업화되어야 한다. 어업의 기업화는 청년 어민의 벤처기업화와 수협의 비즈니스 모델 확장 등을 통해 가능하다. 벤처기업 생태계를 정부와 수협이 주축이 되어 가꾸고 지원해야 한다.
디지털 기술을 청색경제 전반에 적용해야 한다. 자율주행 양식 어선, 스마트 로봇과 대양 사물통신으로 바다 양식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저궤도위성통신망을 이용한 바다 통신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어업 로봇 시스템을 다른 나라의 청색경제 전반에 수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정밀육지양식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섬 주민과 바닷가 어민의 생활 편의성을 높여야 한다. 자율주행 선박을 이용한 이동성 향상, 공기 중 물 채취 시스템 구축, 소형 탈염수 시스템 구축, 드론 택배, 원격 진료 및 드론 이용 의약품 배송, 3D 프린팅을 이용한 해안가 적합 주거 공간 건축 등이 가능하다.
청색 탄소(Blue Carbon) 관련 산업을 어촌의 새로운 먹거리로 만들어야 한다. 로봇을 이용하여, 탄소 포집을 위한 해조류를 상대적으로 깊은 바다에 심고 가꿀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산업을 어촌과 수협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도 기획해야 한다.
그 밖에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 이후의 우리 어촌과 러시아 어촌과의 경제적 연맹 전략, 현장주의 중심의 청색경제 전략, 도시에 양질의 단백질 공급을 위한 농협과 수협의 협업 전략, 정밀육지양식 체계구축 전략, 수산물 양식·가공·유통 표준화를 통한 부가가치 제고 전략, 소멸하는 어촌을 디지털 한국의 나폴리와 한국의 크레타섬으로 재생하는 변화의 씨앗 전략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섬 거주 주민과 어민이 ‘그리스인 조르바’처럼 자유롭게 일하고 건강하게 상상하고 삶의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디지털 전환과 기후위기를 염두에 둔다면, 바다가 생명이다. 어민이 중심이다. 청색경제가 우리가 나아가야 할 가장 큰길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