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날 정례회의에서 박 대표에게 직무정지 3개월이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직무정지를 받은 금융사 임원은 연임이나 금융사 취업이 3년간 제한된다.
애초 지주 부회장으로의 승진까지도 유력했던 박 대표가 이번 중징계로 인해 낙마하면서 김기환 KB손해보험 대표와 이창권 KB국민카드 대표가 지주 부회장으로의 승진이 거론되고 있다. 김 대표는 KB손보를 이끌면서 하락세를 보이던 계열사 실적을 반등시켜 그 능력을 인정받았다. 이 대표는 2015년 지주 전략기획부에 있을 당시 양 회장 밑에서 LIG손보 인수 사후 처리 업무를 맡으며 신임을 얻은 바 있다.
기존 3인 부회장 체제에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양 회장 취임 이후 허인·이동철 KB금융 부회장이 사임을 표명하면서 3인 부회장 체제를 변화하거나 아예 없앨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다만 양 회장은 앞서 최종 후보자로 선정된 뒤 기자들과 만나 “회사의 모든 제도에는 역사적인 유례가 있다”며 “회장 후보군을 육성한다는 측면과 업무 분담을 한다는 측면 등을 고려해 이사회와 협의해서 이 문제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재근 KB국민은행장은 연임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한때 지주 부회장 승진도 점쳐졌지만, 최근 대내외 불확실한 시장 상황이나 경영 안정 차원에서 연임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란 관측이다.
관련 뉴스
앞서 윤종규 전 KB금융 회장은 9월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양 회장은 이재근 행장이라는 든든한 버팀목이 있어 나보다 수월할 것”이라며 “내가 KB금융 회장에 취임할 당시에는 은행 CEO로 뒷받침해 줄 사람이 없어 행장을 겸임하며 은행 정상화를 이끌어야만 했다”면서 이 행장의 능력을 높게 평가하기도 했다.
허상철 KB저축은행 대표와 황수남 KB캐피탈 사장 등은 실적 부문에서 아쉽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다음 달 중순께 계열사 CEO 인사가 진행되고 다음 달 말 조직개편과 지주 부회장 인사 등도 이뤄질 것”이라며 “계열사 CEO 인사를 통해 양 회장이 구상하는 새로운 KB의 윤곽이 어느 정도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