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도 인도서 제품 조달…공급망 다각화 노력에 중국 의존도↓

입력 2023-11-30 16: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체 수입에서 인도 비중 약 25% 차지
중국 수입 비용 상승 및 미·중 갈등 영향
“끊임없는 변수…공급 한 곳에 의존할 수 없어”

▲미국 뉴저지주 노스버겐에 있는 월마트 매장에서 한 고객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노스버겐(미국)/AP뉴시스
▲미국 뉴저지주 노스버겐에 있는 월마트 매장에서 한 고객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노스버겐(미국)/AP뉴시스
미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가 비용 절감 및 공급망 다각화를 위해 인도에서의 수입은 늘리고 중국 의존도는 낮추고 있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월마트는 올해 1~8월 미국 수입 물량의 약 4분의 1을 인도에서 선적했다. 2018년 인도로부터의 수입은 전체의 2%에 불과했다. 중국은 여전히 월마트의 가장 큰 수입국이지만,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80%에서 올해 60%로 줄었다.

이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용이 상승하고 미·중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인도나 베트남, 태국 등 신흥국으로 공급망을 다각화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월마트의 안드레아 올브라이트 공급 담당 부사장은 로이터에 “우리는 최고의 가격을 원한다”면서 “이는 공급망에 탄력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이어 “허리케인과 지진 등 자연재해부터 원자재 부족까지 끊임없이 변수가 생기기 때문에 한 공급업체나 지역에만 의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월마트는 2002년 인도 벵갈루루에서 상품 조달 사업을 시작했다. 현재 인도에서 임시직 근로자를 포함해 10만 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월마트는 2018년 인도의 전자상거래 업체 플립카트의 지분 77%를 인수하면서 인도에서의 사업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월마트는 2027년까지 인도에서 매년 100억 달러의 상품 수입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인도로부터의 상품 수입 규모는 매년 약 30억 달러(약 3조8670억 원)다.

월마트의 더그 맥밀런 최고경영자(CEO)는 5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만나 회담하기도 했다. 당시 맥밀런 CEO는 “인도의 제조업 성장을 계속 지원하고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소방청, 대구 북구 산불 관련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안전 운전도 하고, 벌점 감경 포인트도 쌓고…‘착한운전 마일리지’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300,000
    • -0.38%
    • 이더리움
    • 2,536,000
    • -2.35%
    • 비트코인 캐시
    • 501,000
    • -1.18%
    • 리플
    • 3,282
    • +1.74%
    • 솔라나
    • 210,800
    • -2%
    • 에이다
    • 996
    • -0.99%
    • 이오스
    • 993
    • +3.87%
    • 트론
    • 355
    • -1.11%
    • 스텔라루멘
    • 408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650
    • -4.87%
    • 체인링크
    • 21,020
    • +0.33%
    • 샌드박스
    • 429
    • +0.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