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2275만TEU '사상 최대' 전망…세계 7위 수준

입력 2023-12-11 09: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산항 신항 전경. (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
▲부산항 신항 전경. (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
글로벌 수요위축과 중동사태 등 어려운 여건하에서도 올해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2275만TEU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전망이다. 이는 상하이, 싱가포르, 닝보-저우산, 선전, 광저우-난샤, 칭다오에 이어 세계 7위 수준이다.

11일 부산항만공사(BPA)에 따르면 2023년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량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2275만TEU로 사상 최대 기록을 달성할 전망이다.

수출입 물동량은 2.9% 증가한 1061만TEU, 환적 물동량은 3.2% 증가한 1214만TEU로 글로벌 수요가 폭등해 최대 물동량을 기록한 2021년의 실적을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2023년도 물동량 최종 수치는 해양수산부 해양물류정보시스템(PORT-MIS)을 통해 내년 1월 20일께 확정된다.

공사는 전 세계적으로 위축되는 수요와 해상 운임 하락 등 녹록지 않은 환경 속에서 거둔 성과로 부산항의 우수한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설명이다.

수출입 물동량은 부산항 상위 20개 교역국 중 12개 국가에서 화물량이 증가했으며 대(對) 중국 250만TEU(3.8%), 멕시코 37만TEU(33.0%), 필리핀 15만TEU(27.9%)를 기록하며, 부산항의 전체 수출입 물량 증가를 견인했다.

또 환적 물동량 증가는 2021년 부산항 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 지분을 투자한 글로벌 외국적선사의 부산항 환적 거점화 효과가 핵심 원동력으로 분석된다. 이 회사의 환적 물동량은 전년동기 대비 약 18%(약 40만TEU) 증가했다.

아울러 강준석 사장 주도하에 올해 6월 글로벌 얼라이언스(THE, OCEAN) 선사들을 방문해 부산항 비용 절감 모델을 비롯한 일본 지방 화주 유치 현황, 경쟁항만 대비 우수한 정시성 등 부산항의 환적 경쟁력을 집중 설명하고 이들이 부산항에 추가 노선을 배치하도록 유도했다.

그 결과 부산항은 최근 유엔무역개발협의회(UNCTAD)에서 발표한 항만연결성 지수(PLSCI)에서 전년 대비 6.8점(5.6%) 상승한 128.8점을 기록, 상해항, 닝보항, 싱가포르항에 이어 5년 연속으로 세계 4위를 유지했으며 항만 연결성 세계 10위권 항만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컨테이너 주간 정기노선은 전년보다 11개 증가한 부산항 역대 최다인 287개를 기록해 동북아 최대 환적 항만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했다.

강준석 사장은 "2024년에도 부산항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신항 신규 컨테이너 부두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항만 운영 효율화를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0:0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48,000
    • -1.33%
    • 이더리움
    • 3,470,000
    • -1.89%
    • 비트코인 캐시
    • 569,500
    • -0.52%
    • 리플
    • 3,509
    • +5.03%
    • 솔라나
    • 242,000
    • -0.74%
    • 에이다
    • 1,131
    • -0.79%
    • 이오스
    • 1,221
    • -5.2%
    • 트론
    • 378
    • +1.07%
    • 스텔라루멘
    • 433
    • +0.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800
    • -4.29%
    • 체인링크
    • 23,200
    • -3.37%
    • 샌드박스
    • 494
    • -1.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