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소강 상태였다가 올해 활발
“많은 해커가 동유럽에 기반
전쟁 장기화에 다시 금전적 동기로 공격”

지난해 비교적 잠잠했던 랜섬웨어 공격이 다시 활개를 치면서 대기업과 은행, 병원과 정부기관 등 ‘고가치 표적’을 대상으로 한 공격 건수가 올 들어 11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51% 폭증했다고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미국 사이버보안업체 크라우드스트라이크를 인용해 보도했다.
또 대규모 랜섬웨어 공격으로 피해자들이 더 많은 협상 금액을 지불해야 했다. 블록체인 분석회사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올 들어 9월까지 시스템을 인질로 잡고 ‘몸값’을 요구하는 해커들에게 지급된 금액이 총 5억 달러(약 65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가까이 급증한 것이다. 랜섬웨어 대응업체 코브웨어의 빌 시겔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3분기 1건당 평균 약 26만 달러 수준이던 몸값이 올해 3분기에는 85만 달러로 늘었다”고 분석했다.
최근 몇 달 동안 해커들은 호주 최대 항구의 운송을 마비시키는 한편 미국 라스베이거스 카지노를 큰 혼란에 빠뜨리기도 했다. 국가별로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의 순으로 랜섬웨어 피해가 많이 발생했다. 여러 가지 랜섬웨어로 동시에 공격하는 ‘이중 랜섬웨어’ 등 새로운 공격 유형도 확인됐다.
사이버 보안업체 트리트헌터의 짐 맥머리 최고경영자(CE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을 거치면서 많은 회사가 재택근무를 포함해 어디에서나 근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추진했다”며 “이런 가운데 새로운 보안 취약점이 드러났고, 해커들이 이를 노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뉴스
일부 전문가들은 지난해 랜섬웨어 공격이 전년보다 줄어들었는데 올해는 급증한 이유로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목했다. 많은 해커가 동유럽에 기반을 둔 것에 주목한 것이다. 보안 소프트웨어 업체 트렌드마이크로의 존 클레이 부사장은 “(전쟁 발발 후) 해커들이 우크라이나나 러시아를 공격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며 “전쟁이 너무 오래 지속되면서 ‘다시 돈을 벌어야겠다’고 생각한 해커들이 금전적 동기가 있는 공격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