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젠, 눌라바이오에 '유전자가위' 기술 이전

입력 2023-12-20 09: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왼쪽부터 이병화 툴젠 대표이사와 김재연 눌라바이오 대표이사가 협약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툴젠)
▲왼쪽부터 이병화 툴젠 대표이사와 김재연 눌라바이오 대표이사가 협약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툴젠)

툴젠은 작물 유전자 교정 기업 눌라바이오에 CRISPR-Cas9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눌라바이오는 툴젠이 보유한 CRISPR-Cas9 유전자가위 원천기술을 작물에 적용해 건강 기능성 작물을 개발‧생산한다. 이를 통해 라이센싱 하거나 글로벌 시장에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얻는다. 툴젠은 이에 따른 기술료 수익을 얻게 된다. 금액은 양사 합의에 따라 비공개다.

툴젠의 CRISPR-Cas9 원천특허는 주요 9개 국가에 총 25건이 등록돼 있다. 이를 기반으로 몬산토, 써모피셔 등에 총 18건의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국내에서는 툴젠이 CRISPR-Cas9 원천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눌라바이오는 김재연 경상국립대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교수가 지난해 3월 창업한 유전자 교정 혁신작물 개발기업이다. 자체 개발한 유전체 코드를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는 차세대 유전자가위 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신육종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및 건강 기능성 토마토와 대마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만들어가고 있다.

툴젠과 눌라바이오는 기술이전계약과 더불어 상호협력약정을 통해 글로벌 종자 기업을 대상으로 양사 연구성과물의 기술이전 및 제품 판매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김재연 눌라바이오 대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농업과 미래를 위해 유전자가위 신육종기술이 떠오르는 것은 시대적인 요구"라고 밝혔다.

툴젠 이병화 대표이사는 “이번 CRISPR-Cas9 유전자가위 플랫폼의 기술이전을 통해 국내 농생명 스타트업의 글로벌 성장을 지원하고 상호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양사간 협력을 통해 농생명 종자산업과 관련 사업 제품의 글로벌시장 개척에서 시너지를 창출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재 “경고성·호소형 계엄은 없다”…尹측 계엄 당위성 주장 콕 집어 배척
  • 尹파면 첫 주말…도심 곳곳에서 찬반집회
  • 좋아하는 야구팀, 우승 예상팀 모두 '기아 타이거즈' [데이터클립]
  • 돈벼락의 저주…외신이 바라본 복권 당첨 후 불행
  • 알리익스프레스 바짝 쫓는 테무…한국 시장 공략 속도전
  • 벚꽃 축제 본격 시작…부여서는 백제 유적 야간 개장 [주말N축제]
  • '로비'로 유쾌하게 돌아온 하정우…감독 하정우 표 블랙코미디는? [시네마천국]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29,000
    • +1.53%
    • 이더리움
    • 2,672,000
    • +1.67%
    • 비트코인 캐시
    • 443,500
    • +0.02%
    • 리플
    • 3,125
    • +3.61%
    • 솔라나
    • 178,400
    • +5.38%
    • 에이다
    • 974
    • +2.1%
    • 이오스
    • 1,178
    • -3.36%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82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40
    • +0.96%
    • 체인링크
    • 19,000
    • +1.6%
    • 샌드박스
    • 388
    • +1.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