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로라도주 출마 자격 박탈’ 트럼프, 예비경선 투표에 일단 포함

입력 2023-12-29 08: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콜로라도주, 1·6 사태가 반란이라고 판단
공화당 항소 제기에 따라 투표에 포함
콜로라도주 예비경선 내년 3월 5일 예정
연방대법원서 최종 판결 이뤄질 전망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8월 12일 디모인에서 열린 아이오와주 박람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디모인(미국)/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8월 12일 디모인에서 열린 아이오와주 박람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디모인(미국)/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에게 대선 출마 자격이 없다고 판단한 콜로라도주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주 예비 경선 투표에 일단 포함하기로 했다.

28일(현지시간) 미국 CBS방송에 따르면 제나 그리스월드 콜로라도주 총무부 장관은 “공화당이 대법원 판결에 대한 항소를 제기함에 따라 대법원이 사건을 기각하거나 달리 결정하지 않는 한 트럼프는 내년 콜로라도주 대선 예비 경선 투표에 후보로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콜로라도주는 19일 미국 수정헌법 14조 3항을 적용해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대선 출마 자격이 없다고 판결했다. 미국 헌법 14조 3항은 공직자가 폭등·반란에 가담하거나 원조를 제공한 경우 다시 공직에 취임할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콜로라도주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대선 패배 결과를 뒤집기 위해 2021년 1월 6일 미 의회에서 폭동을 벌인 사건을 반란에 해당한다고 봤다.

공화당 변호사들은 “콜로라도주 대법원이 공화당의 유력 후보를 예비선거와 본 선거에서 배제함으로써 미국 민주주의의 흐름을 근본적으로 바꿔 놨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법원 판결이 뒤집히지 않는 한 모든 유권자는 어떤 후보의 자격을 박탈하기 위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될 것”이라며 “이는 내년 대선을 왜곡할 뿐만 아니라 향후 법원이 정치적 논쟁에 휩싸이게 될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콜로라도주 예비 경선은 내년 3월 5일에 예정돼 있다. 출마 후보와 정당 인증은 내년 1월 5일에 진행된다. 콜로라도주 대법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이 항소할 수 있도록 출마 금지 판결에 대한 효력을 내년 1월 4일까지로 유예했다. 공화당의 항소가 이어지면서 최종 결론은 연방대법원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버이날 선물이었는데…포장 뜯은 '민낯' 투썸 케이크에 당황 [해시태그]
  • 9년 만에 출국 준비…K팝, '금기의 중국 무대' 다시 노린다 [엔터로그]
  • 서울고법, ‘李 선거법’ 파기환송심 첫 공판 6월 18일로 연기
  • 최태원 SK회장 공식사과..."문제해결 위해 책임 다하겠다"
  • 가족사진 무료라더니 앨범·액자 비용 폭탄…가정의 달 사기 주의보 [데이터클립]
  • 단독 “차액가맹금 돌려달라”…맘스터치 가맹점주 200여명도 소송 나섰다
  • 범죄 피해 입었을 때 빠르게 회복하려면…‘범죄 피해자 구조금 제도’ 이용해볼까 [경제한줌]
  • 빅딜 시동 건 삼성전자, 다음 M&A 타깃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694,000
    • +1.39%
    • 이더리움
    • 2,556,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507,500
    • -1.17%
    • 리플
    • 3,004
    • -0.92%
    • 솔라나
    • 208,000
    • +1.32%
    • 에이다
    • 942
    • +0%
    • 이오스
    • 1,101
    • +13.39%
    • 트론
    • 351
    • +0.86%
    • 스텔라루멘
    • 368
    • +0.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650
    • -0.39%
    • 체인링크
    • 19,300
    • +0.05%
    • 샌드박스
    • 383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